[사진-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조찬 회동에 참석하고 있다.출처-뉴시스]
[사진-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조찬 회동에 참석하고 있다.출처-뉴시스]

[이코리아] 고양시장이 ‘메트로폴’ 개념을 제안했다. 서울 시장도 이러한 협의체 구성·운영에 적극 공감했다. <이코리아>는 메트로폴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봤다.

메트로폴은 행정구역을 합치지 않고, 여러 도시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을 모으는 연합 도시를 말한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인접 지방자치단체를 묶은 프랑스의 그랑파리 메트로폴처럼 고양과 서울이 서로 독립된 도시로 존재하면서 상호 대등하고 유기적 관계 속에서 동반 성장하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기고문을 통해 “‘서울 편입’이나 ‘서울 확장’의 종속적 차원이 아닌 ‘수도권 재편’ 차원의 논의가 돼야 한다”라며 “이러한 전제가 바탕이 된다면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특히 메가시티에 따른 지방 공동화현상을  우려하며, “지방소멸로 표현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심각한 지역 불균형 등은 메가시티의 성장에 따른 그림자”라며 “오히려 비수도권과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면서 선제적 차별성을 갖추어 나가는 모범 사례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긴 호흡을 가지고 필요한 연구와 분석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지역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정부와 국회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서울과 인접한 도시들과 공동연구반을 꾸려 객관적·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양 도시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추후에는 김포·구리·고양 등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모두 참여하는 ‘(가칭)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을 별도 구성해서 연구를 종합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메트로폴’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로 프랑스를 들 수 있다. 프랑스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주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지방정책을 진행해 왔다. 2010년에는 제도적인 틀을 만들어 현재의 22개 메트로폴이 지역별 거점도시로서 개발정책을 선도하고 있다. 프랑스 파리와 주변 도시를 연결한 메트로폴을 ‘그랑파리 메트로폴’이라 불린다. 

이러한 메트로폴 정책은 점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프랑스가 최근 인구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 이후 대도시보다 오히려 인구 10만 명 미만의 여러 개 중소도시가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전문가들은 대도시인 파리보다 주변의 소도시의 삶이 경제적으로 더 여유로운 데다, 편의시설도 누릴 수 있어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파리의 주거비 반값으로 파리보다 2배 넓은 주택을 구할 수 있으며, 영화관, 문화센터 등이 있어 어느 정도 문화생활의 향유가 가능하고 근처에 대도시가 있어서 떼제베 고속열차(TGV) 등을 이용한 여행에도 불편함이 없는 것을 이유로 삼았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층을 주도로 일어나고 있다. 국제여론조사기관인 IFOP에 따르면 전문직 종사자가 많은 35세 미만의 젊은 연령대 인구에서 중소도시 정착 의사(65%)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다만, 거리상 대도시와 근접해야 하며, 일자리 등의 경제 환경이 중요한 선결조건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 가운데에도 인구증가 현상을 경험한 프랑스의 도시는 발랑스, 니오르, 앙굴렘 등은 이동 편의, 의료, 상가, 각종 서비스 접근성, 녹지환경 등이 다른 도시들에 비해 뛰어났고, 대도시권과 근접한 지리적 입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풍부한 일자리 제공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