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이코리아]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가 동시에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경제성장이 둔화되는 현상이다.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0.3% 하락했다.  전망치인 -0.4%보다는 0.1%포인트 높았지만, 전달(0.0%)보다 하락한 수치다. 중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1년 2월(-0.2%) 이후 처음이다.

CPI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 동월 대비 -4.4%를 기록했다.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전월 -5.4%에 비해서는 낙폭을 줄였지만, 시장 전망치인 -4.0%를 밑돌았다. 중국 CPI와 PPI가 동반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블룸버그통신은 9일(현지시간) 이 같은 소비자 물가와 생산자 물가의 동시 하락이 디플레이션 신호라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의 로빈 싱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중국이 확실히 디플레이션에 빠졌다"며 "문제는 디플레이션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인데, 이것은 재정·통화 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디플레가 얼마나 길어질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일본처럼 장기간에 걸쳐 불황을 겪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투자자들은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하기를 바라고 있다"면서도 "다만 인민은행이 위안화 약세 등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재정 확대도 한계가 있다. 인프라에 과잉 투자한 지자체들이 모두 빚더미에 앉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블룸버그는 중국의 디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은 7월 CPI 하락이 기저효과 때문이며, 이 현상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정부 지출을 늘리는 등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단기 침체에 그칠 수도 있단 의견도 있다.

한국은행은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GDP)이 5% 내외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더욱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6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해외경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 측은 "보고서는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해 "리오프닝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고는 있으나, 내수회복이 더디고 수출도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미·중 갈등 등 대외 불확실성도 확대되면서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점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반기 전망으로는 "정부의 안정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에 소비·투자 등 내수 회복세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면서 "내수확대와 고용안정, 리스크관리 등을 위한 정책지원이 확대되면서 중국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봤다.

앞서 중국정부는 지난 7월 정치국회의에서 지도부는 역주기조절(Counter-cyclical adjustment)강화를 공식화하며 경기부양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소비진작책 등 부양책 패키지는 이제 가동을 시작했다. 3분기 중 지준율 인하 카드도 유력하다. 부양책의 범위와 강도는 하반기 물가 회복 탄력을 결정할 주요 변수"라고 꼽았다. 

이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라며 "두 가지 측면에서 PPI 증가율 반등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신 연구원은 "△PPI는 중국 제조업이익의 주요 함수로 하반기 기업이익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면서 "△PPI가 중국 제조업 재고사이클을 1~3개월 선행하기에 향후 리스타킹 구간에서 시크리컬과 소비재 업종이 시장을 아웃퍼폼 할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조재운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들 데이터가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특히 리오프닝에도 불구한 저물가 지속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낳고 있다"면서도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으며 내수회복 지연으로 그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 당국은 안정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 및 통화정책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재정정책은 내수부진과 경기하방압력에 대응해 규모와 강도를 확대하고 통화정책은 지준율 인하 등 완화적인 기조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렇다면 이와 관련 한국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전문가들은 그나마 경기 저점을 통과하고 있는 국내 경기의 경우 중국 리스크가 증폭된다면 하반기 국내 경기의 반등 지속성 혹은 반등 속도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력 품목의 대중 수출이 감소한 한국도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반도체는 전체 대중 수출 비중에서 약 25% 정도를 차지하는 만큼 세계경제와 첨단제품의 경기회복뿐만 아니라 중국경제의 향후 향방에 따라 수출판도가 달려있는 상황이다. 

박재곤 산업연구원 글로벌산업실 선임연구위원은 10일 <이코리아>와 한 통화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은 서로 무역 관계가 많이 얽혀있다. 중국은 한국의 제1수출 대상국이기도 한데, 중국 경기가 나빠지면 대중 수출이 늘지 않게 될 테고 이에 한국 경제가 회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