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더빠른전환시나리오'에서의 건물에너지사용변화,출처-건축공간연구원]
[사진-'더빠른전환시나리오'에서의 건물에너지사용변화,출처-건축공간연구원]

[이코리아] 탄소중립을 위한 건축물 부문 그린리모델링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그린리모델링’은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낮추어 기존 노후 건축물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사업이다. 

건물의 에너지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단열성 보강, 고효율 냉난방·조명 적용 등이 이루어지면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건물 부문 탄소중립을 위해 그린리모텔링은 필수적이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그린리모델링 분야의 미래 전문가 육성을 위해 ‘그린리모델링 청년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늘(2일)부터 12일까지 희망자를 모집한다. 

[사진-그린리모델링 인턴십, 출처-국토교통부]
[사진-그린리모델링 인턴십, 출처-국토교통부]

이 프로그램은 그린리모델링 사업자와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청년인재를 연결하여 현장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2021년부터 진행해왔다. 지난해엔 15명 모집에 52명이 지원하여 3.5: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선발된 청년인턴은 기본교육 이후 2개월간 그린리모델링 설계 사무소, 에너지 컨설팅업체 등에서 일하게 된다.

<이코리아>는 인턴십사업이 3년차에 접어든 만큼 인턴십 후 관련업계에 취직된 청년이 있는지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국토안전관리원 담당자와 통화해 보았으나, 사업의 성과에 대해선 내부자료이며, 개인정보 보호상 알려주기 어렵다고 답했다. 

주요 해외 국가에서는 공공·민간 건축물 대상으로 다양한 에너지효율 강화 및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을 실시중이다. 그린리모델링은 공공건축물의 경우 의무화하고,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시 에너지절약 규정에 따라 보조금 지급비율을 설정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는 등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EU에서는 건물에너지 성능지침 중 에너지효율지침에 따라 2014년부터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적용 의무화 정책을 실시 중이다. 매년 공공건물의 냉난방 바닥면적의 최소 3% 이상에 대해 그린리모델링을 시행하고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 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유럽투자은행은 공공·민간 건축물 에너지효율 및 신재생 에너지 이용 증진 지원사업(ELENA)을 운영중이다. ELENA를 통해 3년간 3,000만 유로를 지원하며 지원금 규모는 3년간의 주거지를 포함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과 4년간의 도시교통 스마트화 사업을 포함한다.

EU 회원국 정부에서부터 개인주택까지 다양하게 지원한다.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으로는 주거용·비주거용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 건축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사업(태양광 설치 등), 스마트 그리드 사업 등이 포함된다. 

독일에서는 2014년 이후 주거용·비주거용 건축물의 리모델링시 에너지절약 규정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도록 의무화하였다. 기존건물의 10%이상을 변경할 때 규정에 따라 일정 에너지효율 이상으로 에너지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독일재건은행과 함께 한다. 그린리모델링 공사비의 1%정도에 해당하는 저리융자와 함께 에너지효율 수준에 따라 부채를 경감해주거나 보조금을 지급한다. 건물 전체 뿐 아니라 일부에 대한 개보수·교체에 대한 지원도 가능하다.

미국은 저소득층을 위해 주택단열화 지원사업(WAP)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WAP사업은 저소득 가구가 거주하는 주택의 에너지 효율화를 증진시켜 에너지비용을 낮추고, 취약계층의 건강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다. 미국 에너지부(DOE)펀드를 이용하여 매년 3억 5천개의 주택에 지원하여, 저소득층 약 640만 가구를 대상으로 주택 단열공사를 무상으로 제공하였다. 그 결과, WAP사업은 가구당 매년 283달러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거두고 있다. 

프랑스의 ECO-PTZ사업은 그린리모델링 지원을 위한 무이자대출사업으로 기존 노후건물의 에너지효율 증대 및 온실가스 배출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에너지절약 개보수 비용을 무이자로 대출하며 상환기간은 최대 10년, 지원금액은 최대 3만유로 이다. 1차 에너지소요량과 건물외피성능, 실내온도 제한 등의 최소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