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마이크론사 건물. 사진=마이크론
사진은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마이크론사 건물. 사진=마이크론

[이코리아] 중국이 미국 최대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대한 구매 금지 조치에 나섰다. 지난 주말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모인 정상들이 중국을 견제하는 공동 성명 발표 직후에 나온 조치다. 

로이터통신·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사이버 공간 규제 당국(CAC)은 미국 최대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인 마이크론이 네트워크 보안 검토에 실패했으며 주요 인프라 운영자들이 회사로부터 구매하는 것을 차단할 것이라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중국은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제품의 구매 금지 이유로 '보안 위험'을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위험을 발견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번 조치는 G7 정상들이 중요물자의 공급망을 강화하자는 공동성명 직후 나왔다. 중국에 집중된 배터리 반도체의 기초 물자 공급을 다른 나라로 변경한다는 뜻인데, 이에 중국이 보복을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중국은 지난 3월31일 마이크론에 대한 첫 보안 심사를 개시했고, 50여일 만에 중요 정보 시설 운영자들에 대한 마이크론 제품 구매 중지 명령이라는 실제 조치를 실시했다. 

중국이 미국 반도체 업체에 제재를 가한 건 이번이 처음인데,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에 대해 ‘기습’이라고 평가했다. 미국과 중국이 각각 상대국 대표 메모리반도체 기업을 겨냥하면서 이런 보복성 조치가 확대되지는 않을까 우리 기업들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D램 반도체 시장은 우리나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세 회사가 장악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약 10%, 약 4조원 규모다. 메모리 반도체가 주력인 만큼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4월 23일(현지시간) 미국이 마이크론의 대중 수출이 금지될 경우 삼성·SK 등 한국 반도체 기업이 대체 공급자가 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특히 미 상무부가 21일 동맹·파트너 국가와 함께 마이크론 제재로 인한 파장에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입장이 난처하게 됐다. 

한국반도체 기업이 미국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의 중국 시장 대체 공급자가 되지 말라고 미국 측이 요구할 가능성에 대해 중국 정부는 "결연히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적으로 자신의 패권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대중국 수출을 제한하도록 협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은 23일 <이코리아>와 통화에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속에서 마이크론의 물량이 우리에게 넘어온다고 하더라도 전체 매출 중 1~2% 가량 오를 가능성에 대해 굳이 '기회'라고 보긴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로 인해 오히려 중국 반도체 기업의 자립 성장을 촉진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김 전문연구원은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등 중국 반도체업체들이 생산기술은 있어도 시장경쟁력이 없었는데 덕분에 시장에서 마이크론의 공백을 메울 기회를 얻게 됐다"면서 "낸드플래시 업체인 YMTC는 그간 판매할수록 적자였지만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적자를 메꾸는 정책을 편다면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을 거다. 이렇게 되면 제품 경쟁력도 쌓이게 되어 자연스레 중국 기업들이 시장경쟁력을 갖추는 시기도 단축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