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천 그린 수소 충전소와 수소버스, 출처-인천시]
[사진-인천 그린 수소 충전소와 수소버스, 출처-인천시]

[이코리아] 수소버스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수소버스를 늘리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지자체에서  수소버스를  늘리는 정책을 펴오고 있다.

문제는 인프라다.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수소차만 늘리는 건 효용성이 반감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수소차 이용자들은 충전소 부족으로 애를 먹는다. <이코리아>는 수소차와 관련해 한국 미국 독일의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과 해결방안까지 알아본다.

환경부와 인천시도 지난해 2030년까지 인천시 시내버스 약 2천대를 모두 수소버스로 전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올해 안으로 인천시에 수소버스 200대를 보급하고, 2024년까지 총 70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올해 인천시 수소버스 전환 계획은 전국 최대 규모이다.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김유란 사무관은 23일 <이코리아>와 통화에서 “지자체별로 친환경버스 도입을 추진하는 중인데 모든 시내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지자체는 지금까지 인천시가 유일하다.”며 “인천에 세계 최대규모의 액화수소 생산 플랜트와 충전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보니 수소버스 운영이 더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수소버스는 탈탄소화 뿐 아니라 미세먼지 청소 효과도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버스는 초미세먼지를 99.9%까지 제거하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수소 버스 한 대를 운행하면 중형 디젤 승용차 40대가 내뿜는 미세먼지를 정화할 수 있다.

세계 각국도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인 수소자동차 시장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소 버스의 보급과 수소 충전소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고 있다. 

2005년에 미국의회는 National Fuel Cell Bus Program을 만들어 2012년까지 9천만 달러를 비영리기관에 수소 버스사업화로 지원하였다. 또 환경보호청은 디젤배출가스감소법안(DERA)에 대한 예산을 할당하여 노후디젤 차량이나 장비를 교체하는 경우 예산이나 리베이트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2017년에는 경유차량 배기가스 조작하여 Clean Air Act를 위반한 폭스바겐 사에 대하여 징벌적 과징금(25억 달러)을 부과해, 이 과징금을 수소자동차와 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친환경자동차를 확산하는 프로그램에 지출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의 하이브리드 및 제로배기가스 화물차 및 버스 바우처 인센티브 프로젝트(HVIP)는 접수를 시작 후 사용 가능한 모든 자금(6,300만 달러)이 9분 이내에 소진될 만큼 인기가 많다. HVIP는 point-of-sale (POS) 바우처를 제공하여 친환경 고급 차량을 보다 저렴하게 구매함으로써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프로젝트다. 

HVIP 바우처를 사용하면 업계 최고의 차량을 기존 화석 연료 차량만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의 신규 구매자가 주 규정에 따라 더 깨끗하고 조용한 친환경 화물차 및 버스의 구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사진-유럽의 연료 전지 전기 버스와 수소 재급유 인프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JIVE 누리집]
[사진-유럽의 연료 전지 전기 버스와 수소 재급유 인프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JIVE 누리집]

EU는 수소연료전지 보급 확대를 위한 민관연 파트너십(FCH-JU) 공동사업 자금을 활용하여 대규모 수소버스 및 수소충전소 도입을 지원하는 유럽 수소차 공동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을 추진중이다.

EU는 수소버스 가격 30% 인하, 보급목표의 50% 최소 36개월 운행, 유럽 최대 규모 수소충전소 구축을 목표로 2017년부터 6년간 3,200만 유로의 지원금을 활용하여 버스 사업자및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수소버스 139대 보급 등 상업화 촉진하고 있으며, 2,500만 유로의 지원금을 활용하여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 영국 등 14개 도시에 152대의 신규 수소버스 도입할 예정이다. 

그 중 독일은 100억 달러 규모의 최대 수소 시장으로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100개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한 유일한 유럽 국가이다.

독일은 기후 보호 및 재생에너지 사용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수소를 적용할 계획이다. 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를 대중교통, 화물 차량 등 다양한 차량에 적용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감축을 추진하는 것도 계획의 일부다.

특히, 독일 서부에 위치한 노르트라인-베스트랄렌(NRW)주는 국제적으로 잘 갖추어진 에너지 관련 산업 기반, 인접국과 연결된 가스 수송관, 충분한 에너지 저장 공간 시설, 수소에 대한 높은 산업 수요 등 향후 수소 경제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NRW주는 2030년에는 20톤 이상 연료전지 화물차 11,000대 도입, 화물 및 승용차용 수소충전소 200개, 대중교통용 연료전지버스 3,800대 도입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수소로드맵 전략의 성공으로 현재 탄소배출량의 1/4을 줄일 수 있으며 13만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수소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기지만, 수소의 안전성에 대해 국민의 막연한 불안감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박승기 원장은 진흥원 칼럼에서 “아무리 좋은 기술이나 교통시스템을 개발하더라도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확산 및 보급이 어렵다”며 “국민의 수소에 대한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발생했던 사고사례에 대해 명확하게 원인과 대책 그리고 개선결과를 공개하고 참여형 프로그램 등 국민 신뢰 구축을 위한 노력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