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대형마트에 설치된 전기차충전소의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시내 대형마트에 설치된 전기차충전소의 모습.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미국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올해 안으로 휘발유로 구동되는 내연기관차와 가격이 비슷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0일(현지시간) 전기차 업계의 경쟁과 정부의 인센티브 및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기차가 예상보다 더 빨리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말 현재 미국 내 전기차의 평균 가격은 6만1488달러로, 휘발유 차와 트럭의 평균 가격 4만9507달러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현재 미국 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이쿼녹스의 경우 전기차 모델이 약 3만달러, 내연기관차 모델이 약 2만6600달러에서부터 출발한다. 전기차 모델이 휘발유 모델보다 3400달러 비싸지만, 전기차 소비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세액공제를 감안한다면 가격 면에서 전기차가 우위에 서는 셈이다. 

NYT는 "전기차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품인 배터리의 생산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남미 광산 개발에 따라 고가로 거래됐던 리튬의 공급이 안정화됐고, 미국 내에 건설된 배터리 공장의 대량 생산도 생산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기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은 최고치에서 20%가량 하락했고, 코발트의 가격은 지난해 5월 이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GM의 경우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회사 얼티엄 셀즈를 통해 지난해 11월 제1공장인 오하이오에서 본격적인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다. 테네시 주에 있는 2공장은 올해 말 양산 가동이 목표다. 

미국 내 청정에너지 투자를 장려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시행되면서 전기차 기업들이 하나 둘씩 가격 인하에 동참하고 있는 영향도 있다. IRA 규정에 따르면 전기차 세단의 경우 5만5000달러 이하의 차량만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업계 선두주자인 테슬라가 가장 먼저 세단인 모델3와 모델S, SUV인 모델Y와 모델X 가격을 미국에서 최대 25% 낮췄다. 미국 자동차 기업 포드와 중국 기업 샤오펑 등도 가격을 인하했다.

그렇다면 한국 상황은 어떨까. 

환경부에 따르면 그간 적극적인 보조금 정책 추진으로 누적 40만2000대를 보급하는 등 국내 전기차 대중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특히 연간 보급대수 중 약 70% 이상이 5500만원 미만의 대중·보급형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 2일 전기차 대중화와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정책 목표로 ‘2023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을 공개했다. 우선 지원대상 차량가격은 5500만원에서 5700만원으로 상향조정됐다. 원자재 가격급등 등 물가상승을 감안하여 조정한 것이다. 5500만원미만 차량은 보조금이 전액지급된다. 5700만~8500만원대 차량도 작년과 동일하게 50% 보조금이 지급된다. 제외대상은 작년과 동일하게 차량가격 8500만원이다. 

중·대형 전기승용 성능보조금 단가를 100만원 감액(600→500만 원)하는 대신 전기승용 보조금 지원물량은 전년도 대비 약 31%(16→21.5만대) 늘렸다. 또 차급에 따른 가격차를 고려하여 소형·경형 전기승용 성능보조금 상한을 400만원으로 신설하고, 초소형 전기승용은 400만원에서 350만원으로 감액했다.

취약계층 지원은 늘렸다. 저소득층·소상공인은 보조금 산정금액의 10%를 추가 지원하되, 초소형 전기승용차는 추가 지원을 20%로 확대했다.

최근 3년내 급속충전기 100기 이상 설치업체 전기차에는 충전인프라보조금 20만원, V2L기능을 탑재하면 혁신기술보조금 20만원으로 상향 또는 신설됐다. 

배터리 성능개선을 위한 정책도 강화됐다.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50㎞미만은 20% 감액하고, 1회 충전 주행거리 450㎞까지 가능한 고성능 차량을 더 많은 보조금을 받도록 했다.

블룸버그NEF의 '신에너지 전망 2020'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전기차 종류별 가격 경쟁력 보유 시점은 SUV가 2023년으로 예상됐다. 이어 중형차가 2024년, 소형·대형차는 2026년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이코리아>와 통화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간 가격동등성은 통상 중형차 모델의 가격이 같아지는 시점을 보게 된다. 예를 들어 코나 내연기관차와 코나 전기차 가격이 보조금 없이도 같아질 때 가격 동등성이 이뤄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한 두 차종이 가까워진다고 (전기차의 가격동등성이) 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가격 동등성이 오는 시점은 앞서 2025년으로 봤는데 배터리 가격이 많이 오른 덕에 2026~2027년으로 전망치가 늦춰졌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위원은 "가격 동등성을 따지려면 우선 보조금을 언제까지 줄 것인가부터 정해야 한다. 정부가 아직 보조금제를 폐지하지 못하는 이유가 변동성이 커서 그렇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2020년에 전기차 보조금제를 종료했다가 이듬해 수요가 확 떨어져 2년 연장했다. 지난해엔 약 630만대 이상 팔렸고, 올해는 900만대 판매치를 예상하고 있다. 대략 25% 이상 판매율이 올랐기 때문에 보조금제를 일몰했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아직 전기차 비율이 10%대 남짓이라 중국과 비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국내 전기차도 규모의 경제에서 물량이 늘어나면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