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세종 스마트시티의 미래 모습,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진-세종 스마트시티의 미래 모습,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이코리아] UN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는 2050년 약 95억 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며, 그 중 약 67%가 도시에서 살게 될 전망이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율이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교통 혼잡, 에너지 고갈 등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ICT 기술을 접목시킨 스마트건축물이 주목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일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출범하여 스마트+빌딩 활성화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코리아>는 스마트+빌딩이란 무엇이고, 해외의 스마트건축물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다. 

스마트+빌딩은 일상생활의 수요 및 기술·서비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춘 건축물로 도심항공교통(UAM),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 구조, 설비 등을 갖춘 건축물을 말한다.

건축공간연구원 남성우 센터장은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기존의 스마트 빌딩은 냉난방 시스템, 조명 및 전기 시스템, 화재 감시 장치, 보안 설비 및 경비, 정보 통신망과 네트워크, 사무 자동화 등이 통합되어 첨단 서비스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간을 제공해 주는 빌딩이라면, 스마트+ 빌딩은 도심항공교통(UAM) 이나 자율주행 같은 기존의 스마트 빌딩에서 접목되지 않았던 모빌리티 기술들을 설계단계부터 수용 가능하도록 기획된 건축물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설명에 따르면 스마트+빌딩을 공공건축물에 우선 적용할 경우, 경찰·소방관 등이 재난 현장에 교통정체 없이 빠르게 이동하거나 방송국에서 각종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한 재난 방송을 할 수 있으므로 국가 재난 대응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외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거나 제공하는 공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기술 개발 뿐아니라 기술의 도입에 따른 건축공간의 변화와 향후 건축공간의 계획 방향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수직이착륙기(VTOL)를 위한 버티포트(Vertiport)와 버티스탑(Vertistop)의 이륙시설의 규모, 구조적 기준과 설비 설치를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고, 유럽 항공안전청(EASA) 역시 버티포트의 안전한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버티포트란 전기, 수소, 하이브리드 VTOL의 착륙과 이륙을 위해 사용되는 관련 건물과 시설을 포함하는 토지 및 구조물을 뜻하고, 버티스탑은 승객과 화물의 승차하를 위한 최소한으로 개발된 버티포트를 뜻한다. 

[사진- 릴리움의 모듈형 수직이착륙장 디자인, 출처-릴리움]
[사진- 릴리움의 모듈형 수직이착륙장 디자인, 출처-릴리움]

독일 항공택시 기업인 릴리움(Lilium)이 제시한 모듈형 수직이착륙장을 버티포트의 사례로 들 수 있다. 사무동 옥상이나 주차장, 쇼핑센터에 들어설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5인석 제트동력 전기 에어 택시를 개발한 릴리움은 2025년을 목표로 전세계 여러 도시에 완전전기 에어택시를 출범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건축공간연구원의 ‘스마트건축 인증 도입 및 운영방향 연구’ 보고서는자율주행차로 인해 자동화 기계설비와 자율 발레파킹으로 주차정밀도가 향상되고, 운전자·보행자의 고려가 불필요해질 것이라고 말하며 주차장 설계도 변화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보고서는 “스마트건축의 활성화를 위해 해외의 경우, 건축 기준 완화 규정보다는 세제 혜택과 자금 지원에 대한 인센티브가 주를 이른다.”며 “민간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또한 로봇, UAM, 자율주행 등 스마트건축 관련 기술 개발 및 민간 활성화를 저해하는 규제를 발굴해 폐지·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비행 제한 규제 개선이나 주차장법에 따른 주차면수의 인정 등에 대한 요구가 나타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