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일 취임했다. 언론은 윤 대통령의 취임 소식을 전하면서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 尹 취임사 키워드는 ‘자유’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에서 ‘윤석열’을 검색한 결과, 10~11일 총 3627건의 기사가 보도된 것으로 집계됐다. 새 정부가 출범하는 날인 만큼 모든 언론이 집중적으로 관련 기사를 쏟아낸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 관련 기사에 가장 많이 언급된 연관키워드는 ‘취임식’과 ‘취임사’였다. 특히 윤 대통령의 국정계획과 정치관을 엿볼 수 있는 취임사를 두고 언론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언론이 주목한 윤 대통령 취임사의 핵심 키워드는 ‘자유’였다. 윤 대통령은 10일 취임사에서 윤 대통령은 “각자가 보고 듣고 싶은 사실만을 선택하거나 다수의 힘으로 상대의 의견을 억압하는 반지성주의가 민주주의를 위기에 빠뜨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해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우리가 처해있는 문제의 해결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이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 우리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바로 ‘자유’이다”라고 말했다. 실제 윤 대통령은 이날 취임사에서 ‘자유’를 35차례나 언급했다.

조선일보는 10일 “윤 대통령 취임사 핵심 키워드는 ‘자유’… 35번 언급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 대통령의 이러한 인식은 미국의 신자유주의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의 ‘선택할 자유’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라며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부친인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에게 서울대 법대 입학 기념으로 프리드먼 책을 선물 받았고 이를 근간으로 자신의 세계관이 형성됐다고 밝혔었다”라고 말했다. 

한국일보는 “미국 신자유주의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의 저서를 탐독했다는 윤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자유’를 강조했다”라면서도 “다만 윤 대통령이 자유의 전제 조건으로 ‘연대’를 꼽은 것은 새로운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일보는 “자유는 결코 승자독식이 아니다”, “어떤 사람의 자유가 유린되거나 자유 시민이 되는 데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모든 자유 시민은 연대해서 도와야 한다”라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자유가 승자독식·적자생존으로 흐르지 않도록 연대를 통해 결과를 보정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10~11일 보도된 '윤석열' 대통령 관련 기사의 연관키워드. 자료=빅카인즈
10~11일 보도된 '윤석열' 대통령 관련 기사의 연관키워드. 자료=빅카인즈

◇ ‘통합’ 빠진 취임사에 아쉬움도...

윤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소통과 통합을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한겨레는 10일 기사에서 “(윤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자유’를 35차례 강조한 반면, 정치·사회적 양극화 해소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통합’이라는 단어는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았다”라며 “시장의 자유와 성장을 우선시하는 정책 방향성을 예고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경향신문 또한 “윤 대통령은 소통, 통합, 협치 등의 단어는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의석만 168석으로 범야권을 합치면 180석에 이르는 압도적 여소야대 국면에 대한 해법이나 야당과의 협력 의지는 취임사에 담지 않았다”라며 “윤 대통령이 장관 인선부터 보여온 정면돌파나 야당과의 강 대 강 대결을 이어가려는 의지를 취임식에서 내비친 것이란 관측도 있다”라고 전했다. 

중앙일보 또한 11일 사설에서 “다만 대통령으로서 공감과 합의의 기반을 넓힐 책무를 언급하지 않은 건 아쉽다. 통합은 취임사에 한 차례도 등장하지 않았다”라며 “0.73%포인트 차의 신승에다 엄청난 여소야대 국회는 윤 대통령이 먼저 다른 진영에 손을 내밀 것을 요구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반면, 윤 대통령은 11일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취임사에 국민 통합이 빠졌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그건(통합) 너무 당연한 것”이라며 “우리 정치 과정 자체가 국민 통합의 과정”이라고 해명했다.

◇ 尹, ‘반지성주의’ 발언이 겨냥한 곳은?

윤 대통령의 ‘반지성주의’ 발언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한국일보는 11일 기사에서 ‘반지성주의’에 대해 “이 개념은 반공 광풍 ‘매카시즘’이 미국 사회를 휩쓸던 1950년대 정립됐다. 맹목적 신념을 비판하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고 설명하며 “윤 대통령의 소신이 가장 함축적으로 녹아 있는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일보는 “실무진이 작성한 취임사 초안에 ‘민주주의는 자유와 지성에 의해 성립한다’고 돼 있던 문구를 윤 대통령이 반지성주의를 새로 넣어 고쳤다고 한다”라며 “‘지난 5년간 정치적 양극화와 대립이 심화된 데엔 맹목적으로 특정 이념을 추종하는 정치문화가 놓여 있다’는 윤 대통령의 생각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반지성주의’가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겨냥한 표현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조선일보는 이날 기사에서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발탁돼 검찰총장에 올랐지만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를 지휘하다가 조 전 장관 지지자들의 거센 공격을 받았다”라며 윤 대통령의 ‘반지성주의’ 발언에 대해 “문재인 정권의 행태를 반지성주의로 규정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라고 풀이했다. 

동아일보 또한 이날 기사에서 ‘반지성주의’ 발언에 대해 “윤 대통령이 이른바 ‘조국 사태’ 이후 정치 영역에서 사실 여부가 무의미해진 현실과 더불어민주당의 ‘다수당 독주 프레임’, 목소리가 큰 일부 노동단체의 과잉 대표성 등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라고 전했다. 다만 취임사 작성에 관여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동아일보를 통해 “의도적으로 누군가를 겨냥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한겨레도 이날 사설에서 “윤 대통령이 직접 넣었다는 ‘반지성주의’라는 표현은 사실상 거대 야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자신에게 비판적인 이들을 겨냥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겨레는 이어 “견해가 다른 사람들이 서로의 입장을 조정하고 타협하기 위해서는 과학과 진실이 전제돼야 한다. 그것이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합리주의와 지성주의”라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상대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견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법적 관점에서 사실관계를 다투며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것인가. 자신을 향한 비판과 견제는 ‘억압’이라고 바라보는 것도 어불성설이요, 국민들을 ‘지성’과 ‘반지성’으로 갈라치기 하고 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