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금융위원회 블로그 갈무리]
[사진-금융위원회 블로그 갈무리]

[이코리아] 디지털 금융이 본격화되면서 금융 활용 시작 나이도 낮아지고 있다. 이에 금융에 관한 조기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디지털 금융은 코로나 이후 소비자의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았다. 은행 영업시간이 짧아지고,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금융거래가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금융사를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고, 빠른 거래가 가능한 디지털 금융을 선호하고 있다. 계좌 조회, 주식 거래 등은 이미 90% 이상이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고, 펀드·적금 가입 등도 디지털로 옮겨 가는 추세다.

그러나 디지털 금융거래가 늘어났다고 디지털 금융 이해력까지 높아진 것은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OECD 금융 이해력 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18~79세)의 금융 이해력 총점은 67점으로 조사 참여 39개국 중 독일, 태국, 홍콩, 아일랜드, 룩셈브루크, 몰타, 에스토니아에 이어 8위였으나, 디지털 금융 이해력 총점은 43점으로 OECD 평균인 55점과 조사 참여국 평균인 53점보다 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사진-디지털금융이해력 점수 비교,출처-한국은행]
[사진-디지털금융이해력 점수 비교,출처-한국은행]

디지털 금융 이해력 중에서 디지털 금융 지식은 OECD 국가 평균과 비슷했지만, 디지털 금융 행위 및 금융 태도가 크게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공용 와이파이 사용의 불안정성을 알지 못한다던지, 웹사이트 비밀번호를 정기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등 디지털 보안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은행은 “향후 금융 경제교육 진행 시 디지털 보안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라는 의견을 냈다. 

지난 18일엔 여성가족부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교육 관계기관과 청소년 금융 활동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여가부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 청소년 수련관 등 청소년 시설과 금융 교육기관을 연계하고, 금융감독원은 금융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콘텐츠 및 방문교육을 제공한다.

또한 청소년 금융교육협의회와 NH농협은행, 교보생명보험, KB국민카드 3개 금융사는 교육프로그램 마련과 방문교육 등을 지원하며,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청소년 시설 현장에서의 금융교육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총괄하기로 했다.

19일 금융위원회는 ‘청년 대상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금융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융 지식 욕구와 디지털 활용 능력에 비해 미래에 대한 준비나 경제적 가치, 위험관리에 대한 인식은 낮다는 점에서 금융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큰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우리 국민이 미래에 대비해 금융자산을 증식시키고 보호해 나가려면 앞으로 금융교육은 기초체력을 탄탄히 쌓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보다 주체적인 소비자로 성장하도록 실생활과 맞닿아 있는 교육으로 거듭나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4월부터는 미래에셋·키움증권 등 금융 투자회사들도 참여하는 금융교육을 순차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사회초년생·직장인 등을 중심으로 신용융자거래 등에 따른 투자 사례 등이 활발히 공유되고 있는 만큼 처음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등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발송할 예정이다.

청년들이 급변하는 금융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생존 금융교육도 시행한다. 이에 따라 대출, 신용카드, 보험 가입, 저축 및 자산형성 등 청년들이 꼭 알아야 하는 금융 주제들을 선정해 각자 상황에 맞는 금융교육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학계에서도 디지털 금융 조기교육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있다. 디지털 금융은 소비자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 편의성을 개선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가져왔다. 소비자는 대출 절차가 편리해져 과대 대출을 받거나 간편한 결제 과정으로 인한 과소비 및 충동 소비를 할 위험이 커졌다. 

전문가 사이에선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는 청소년의 ‘온라인도박’도 편리해진 송금 과정이 청소년 도박 문제의 배경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박소정 서울대 교수는 “디지털 금융은 클릭 몇 번이면 실행이 되다 보니 개인이 가지고 있던 부정적 금융 행위를 강화하는 역할도 한다”라고 했다.

박 교수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금융교육’ 세미나에서 “이 같은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바람직한 금융 생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금융교육이 아닌 실용적인 경제교육이 필요하다”라며 “학생들이 수학, 국어 등 여러 과목을 통해 경제 관념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금융 조기 교육과 더불어 소비자의 금융 행위를 부추기는 기업의 부적절한 ‘디지털 넛징’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넛징은 상대가 특정한 행동이나 선택을 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넛징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의 행동과 선택을 설계한다. 박 교수는 “소비자가 디지털 넛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한 디지털 넛징이 일어날 수 있도록 규제 및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금융의 바람직한 활용과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기업, 정부, 소비자, 교육계 모두가 디지털 금융 및 금융 이해력 개선에 힘써야 한다”라며 “이를 위해 디지털 금융 접근성을 높이는 인프라 구축, 제도 개선, 소비자 디지털 역량 강화와 금융 이해력의 증진이 균형감 있게 개선돼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