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질병관리청]
[출처-질병관리청]

[이코리아] 전국에서 빈대가 속출하면서 정부와 지자체가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지난 3일 빈대 퇴출을 위한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를 출범했다.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10개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이 기구에서는 빈대 방제 추진 현황과 효과적인 빈대 방제, 확산 방지를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서울시도 취약시설 빈대 방제활동을 위한 예산을 긴급 투입해 집중관리에 나섰다. 빈대가 출몰할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히는 숙박시설과 목욕장, 찜질방 등 총 3175곳을 10월 31일부터 전수 점검하고 있다. 

6일 현재 서울시에 따르면 25개 자치구 중 7곳에서 빈대 발견 신고가 17건 접수된 상황이다. 시는 빈대 출몰이 잇따르자 쪽방촌·고시원 등 주거 취약계층이 사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방제활동을 하고 예산 5억 원을 긴급 교부하기로 했다. 

신속한 방제를 위해 빈대 발견 시 보건소, 120다산콜센터와 함께 ‘빈대발생 신고센터’를 운영하여 온라인으로도 신고 가능케 했다. 신고가 접수되면 자치구에서 신속히 현장 출동하여 빈대 출현여부를 확인하고 위반사항 발견 시 관계법령에 의거 행정처분하고 방제하도록 조치한다. 

[사진-X에 퍼진 잘못된 빈대퇴치법을 공유하는 모습, 출처- X]
[사진-X에 퍼진 잘못된 빈대퇴치법을 공유하는 모습, 출처- X]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잘못된 빈대 퇴치법이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규조토 분말을 뿌리라는 것다. 규조토는 단세포 미세 조류인 규조류의 외피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퇴적돼 형성된 다공질의 흙이다. 일부 네티즌들은 “규조토 가루를 적고 얇게 침대나 주변 가구에 뿌리면 된다” 등의 글을 공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방법이 위험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규조토에 일정 기준치 이상 노출되면 규폐증(규사 등의 먼지가 폐에 흉터를 남기는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흡입된 규조토 입자는 기관지나 폐 조직 등에 축적되어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진-질병관리청]
[사진-질병관리청]

그렇다면 우리 집에서 빈대가 발견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질병관리청은 빈대한테 물렸을 경우 물과 비누로 씻고, 의사나 약사를 찾아 증상에 따른 치료법과 의약품 처방을 상의해야 한다고 안내한다.

또 집이나 숙박 시설에서 빈대가 있는지 확인할 경우, 침대 매트리스나 침대 틀, 소파 틈새를 집중적으로 찾아봐야 한다.

빈대를 발견했을 경우 고열 스팀 소독을 하고 진공청소기로  알과 잔해를 치운 후 오염된 옷과 침대 커버 등 직물은 건조기로 소독해야 한다. 빈대는 고온에 약하기 때문이다. 

물리적·화학적 방제도 병행해야 한다. 한 번 방제했더라도 남아 있는 알이 부화할 수 있기 때문에 7∼14일 이후 다시 한 번 서식지를 살펴보고 방제하는 후속 조치가 중요하다. 다만, 유독기체를 사용하는 훈증 방제는 반드시 전문가를 통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방역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공중위생관리법상 관리 대상인 목욕탕·사우나와 달리 자유업종으로 분류되는 고시원과 같은 업종의 경우 지자체에 명확한 관리 권한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 빈대는 법정 감염병을 매개하거나 전파하는 벌레도 아니어서 현장 조사에 나설 수 없다.

실제로 지난 10월 23일 경기도 부천의 한 고시원에서도 빈대가 나왔다는 민원이 접수됐으나 가능한 조치는 빈대 방제를 위한 매뉴얼이나 방역수칙 안내뿐이었다. 부천시 측은 “고시원은 자유업이라 시의 인허가나 관리 대상이 아니다”며 “사적으로 방제해야 하는 곳”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