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주요국 연구개발비 및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2020),출처-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자료]
[사진-주요국 연구개발비 및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2020),출처-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자료]

[이코리아] 바이오 분야는 질병뿐 아니라 환경오염, 식량부족 등 지구촌이 당면한 난제를 해결할 유망 산업으로 부상했다. 

글로벌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진단 및 치료 솔루션 수요증가에 따라 2020년 5,041억 달러에서 2027년 9,114억 달러로 연평균 7.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우리나라도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OECD자료에 따르면 주요국의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에서 국내 연구개발비는 78,856백만 달러(약 93조 721억원)로 세계 5위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방안’을 통해 ▲연구개발 지원, ▲투자 확대, ▲규제 혁신, ▲인력 양성 등 다방면에 걸친 실행방안을 제시했지만, 업계에서는 정책 추진이 너무 더디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나라는 신사업 분야의 인증 기준이 엄격한 편이다. 바이오 분야의 특징은 기술혁신이 곧 신산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부분은 장벽이 된다. 원격진료가 불법인 나라에선 원격진료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 국내에서 기술력·신뢰성을 얻은 스타트업들은 해외로 눈을 돌리는 원인이 된다.

[사진-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모니터링게시판 갈무리]
[사진-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모니터링게시판 갈무리]

2021년 정부가  ‘바이오 민간투자 애로지원단’ 홈페이지를 개설했지만, 2023년 6월 현재 모니터링 게시판에 적혀 있는 글은 8건 뿐이다.

반면 미국, 유럽 등은 바이오 사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기술, 제조 역량강화 및 공급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KOSTA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바이오산업은 미국 경제에 약 2.9조 달러를 기여하고 있다.  향후 10년 이내 일자리 창출, 세금 등으로 유관산업 및 시장은 약 30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팬데믹 이후 바이오제약 산업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투자가 확대되는 추세다.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연방 투자 확대, 제조 역량 강화, 규제 간소화 및 위기관리, 국제 연구·개발 협력 증진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미국의 국립보건원(NIH)은 민간기업이 수행하기 어려운 국가 차원의 대규모 프로젝트와 기초연구, 혁신적 고위험 연구 등을 주로 지원해 왔으며, 최근 미국 정부는 R&D뿐 아니라 제품 제조 및 공급망 구축 등 바이오산업 전 단계의 지원까지 강화하고 있다.

스위스는 2020년 3대 수출 주력산업 중 하나로 제약산업을 육성하여, 국가 경제 중 의약품 산업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2019년 의약품 수출은 976억 스위스 프랑(약 139조8천억원)으로, 이는 스위스 전체 수출 중 41%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같은 해 우리나라 의약품 수출액의 약 10배에 해당한다.

스위스는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도입했다. 세계적 규모의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규제를 없앴다.

스위스 증권거래소는 유럽 내 주요 증권거래소 중 생명과학 관련 시가 총액의 약 40%를 점한다. 이때문에 기업의 자금 조달이 용이하다. 또 스위스 정부는 R&D투자 기업에 대해 탄력적인 세율 적용 및 유럽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법인세 등 다양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해외 기업 유치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한국의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려면 이러한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