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윤석열 정부의 인사청문회가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여야 갈등이 극에 달한 가운데, 후보자들의 대응을 비판하는 언론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앞서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5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각각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이날 청문회에서 여야는 김·유 두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과 과거 이력을 두고 강 대 강 대치를 벌였다. 문체위는 6일 유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하기로 했지만, 여가위는 김 후보자는 이날 속개된 청문회에 불참하면서 파행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 김행·유인촌 청문회 보도 키워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빅데이트 분석시스템 ‘빅카인즈’에서 ‘청문회’와 ‘김행’, ‘유인촌’ 두 후보자의 이름을 함께 검색하자, 지난 2일부터 6일까지 총 558건의 기사가 보도된 것으로 집계됐다. 날짜별로 보면, 청문회가 열린 지난 5일 238건으로 가장 많은 기사가 쏟아졌다.

김행·유인촌 인사청문회 관련 기사에 가장 많이 등장한 연관키워드는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야당 의원들’ 등이었다. 이는 청문회에서 민주당이 두 후보자의 적격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공세를 이어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블랙리스트’도 연관키워드 목록에 포함됐다. 이는 유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시절 문체부 장관 재임 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했다는 야당의 의혹제기 때문으로 보인다. 5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임종성 민주당 의원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가 지난 2019년 발간한 백서에 유 후보자의 이름이 104번이나 거론됐다며 “블랙리스트가 없다고 부인하는 것은 사실상 위증”이라고 말했다.

반면 유 후보자는 “제 이야기를 104번씩 거론하면서 왜 저를 구속 안 했는지 궁금하다”며 “이명박 정부에선 블랙리스트라는 말도 없었다”라고 반박했다.

‘김건희’, ‘주식 파킹’, ‘위키트리’ 등 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과 연관된 키워드도 청문회 관련 보도에 자주 거론됐다. 김 후보자는 5일 열린 청문회에서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으로 여가부 장관 후보자가 됐다는 의혹에 대해 “언론과 정당, 정치권에서 거의 40년을 활동했는데, 어떻게 (김건희) 여사가 저를 픽업해서 이 자리에 가져다 놨다고 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지난 2013년 청와대 대변인을 맡게 된 뒤 자신이 운영하던 소셜뉴스(인터넷 매체 위키트리의 운영사) 지분을 시누이에게 매각했다가 되사들여 백지신탁을 회피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적자가 심해 지분을 사줄 사람이 없었다”며 “직계존비속이 아니라 위법사항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지난 2~6일 보도된 김행 여가부 장관 후보자와 유인촌 문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관련 기사의 연관키워드 자료=빅카인즈
지난 2~6일 보도된 김행 여가부 장관 후보자와 유인촌 문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관련 기사의 연관키워드 자료=빅카인즈

◇ 언론, “김·유 장관 후보자 해명, 국민 눈높이 어긋나...”

이번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언론은 대체로 김행·유인촌 두 후보자의 해명과 대응이 부족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일보는 6일 사설에서 유 후보자에 대해 “2019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가 발간한 백서에는 ‘이명박 정부의 유인촌 장관, 박근혜 정부의 김기춘 비서실장 등은 문화예술계의 배제, 갈등, 탄압 등을 주도하는 상징과 같았다’ 등 유 후보자 이름이 104차례 등장한다”며 “임명 시 표현의 자유나 창작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이 걱정되고, 문화예술계 인사 상당수가 지명철회 요구에 나선 이유”라고 말했다.

한국일보는 이어 “문화계를 편향된 ‘이념전쟁’의 장으로 몰고 갈 우려가 말끔히 해소되지 않은 것”이라며 “유 후보자는 시대착오적인 ‘블랙리스트’ 발상과 자신이 무관하다는 점을 좀 더 분명히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는 이날 사설에서 김 후보자의 ‘주식 파킹’ 의혹 해명에 대해 “사실상 어렵잖게 되살 수 있는 상대에게 주식을 맡겨둔 셈이어서 백지신탁 제도를 우롱한 꼼수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며 “현재 김 후보자 부부의 소셜뉴스 주식 가치는 102억원이 넘는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게다가 2019년 복귀했다면서 그 이전인 2018년 위키트리로부터 급여(7500만원)와 취재비(240만원)을 받은 기록도 있다”며 “그가 청와대 대변인으로 근무한 2013년 위키트리에 집행된 정부 광고가 1년 전 5건에서 30건으로 늘어난 것 역시 석연찮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는 김 후보자가 설립한 언론사 위키트리의 선정적 보도에 대해 지적했다. 앞서 김 후보자는 5일 청문회에서 위키트리의 2차 가해 및 성차별적·혐오성 기사를 지적한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의 발언에 대해 김 후보자는 유감을 표하면서도 “(시정권고를 많이 받은 언론사 순위) 10위 순서를 보면 메이저 언론사 1~3위가 다 들어가 있다”며 “현재 대한민국 언론의 현실”이라고 답했다.

조선일보는 6일 기사에서 해당 발언에 대해 “언론중재위가 다른 언론사에 대해 시정권고한 사례를 보면 ‘여론조사 보도에 조사기관·표본·응답률 정보 누락’ ‘자살 방법·범행 수법 등에 대한 구체적 묘사’ ‘무죄 추정 원칙에서 벗어난 범죄사건 보도’ 등이 대부분”이라며 “‘성폭력 피해자 보호’ 위반과 관련한 시정권고 건이 일부 있지만, 위키트리처럼 선정적인 제목을 썼다는 이유로 지적받은 사례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김 후보자는 이 같은 차이를 무시하고 시정권고를 받은 건수만 가지고 ‘다른 언론사도 마찬가지’라는 식의 해명을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두 장관 후보자의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경향신문은 5일 사설에서 김김행(여가부)·유인촌(문체부)·신원식(국방부) 등 세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론이 모두 부정적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9·13 개각이 총체적 실패였음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은 “국정쇄신 기대를 무너뜨린 ‘불통·오기 인사’ 시비부터 일었고, 세 후보자는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키기는커녕 확장시켰다”며 “윤 대통령은 이들 지명을 철회하고 ‘MB 정부 시즌2’라는 반응이 나오지 않도록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재를 폭넓게 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