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3월 17일 일본 도쿄 게이단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사진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3월 17일 일본 도쿄 게이단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한일 재계 단체가 한일·일한 미래파트너십 기금의 공동사업을 검토할 운영위원회와 이에 대해 조언할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정부 주도로 이뤄진 한일관계 정상화의 일환이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동참을 적극 독려하고 있지만 삼성을 비롯한 4대 그룹은 쉽사리 결정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은 10일 오후 일본 도쿄 게이단렌 회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기금을 통한 공동사업의 구체화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이같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운영위원회 공동 위원장은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과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이 맡는다. 한일 미래파트너십 기금 운영위원에는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과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임명됐다. 

이번에 모인 기금은 각 단체가 10억원씩 출연했는데 젊은 인재 교류와 첨단 산업협력 강화에 쓰인다. 이후에는 개별기업들이 참여해 기금을 모으기로 했다. 

두 단체는 오는 7월 6일 서울에서 ‘한일산업 협력포럼’을 열고 반도체와 탈탄소 문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도쿠라 게이단렌 회장은 ‘사업을 언제 시작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지금은 콘셉트를 만드는 단계"라고 밝혔다.

이어 "논의는 바로 시작하고 싶다"며 "7월 6일의 포럼 전후로 운영위원회를 소집해서 논의하고 싶다.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올 것으로 생각하며, 나도 몇 가지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창설이 발표된 이 기금은 한국 정부가 내놓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평가돼 일본 피고 기업의 참여 여부가 관심을 받아왔다. 

미쓰비시 중공업과 일본제철의 참여 의사 관련, 도쿠라 회장은 "협력 사업에 따라 요청할 생각이며, 특정 기업이 꼭 참여해야 한다거나, 특정 기업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은 일절 없다. 사업의 동참 여부는 개별 기업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은 “한국 측에서 미쓰비시, 일본제철 기여 여부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데, 이 기금은 미래를 위한 기금이기 때문에 질문이 거듭될수록 기금의 의미가 줄어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 직무대행은 4대 그룹의 참여를 묻는 질문에 "전경련이 주도한 한일·한미 재계회의에 4대 그룹이 국가의 일이기 때문에 기꺼이 참석했고, 기금 사업 역시 대한민국 전체를 위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주도로 이뤄진 한일관계 정상화의 일환이고, 전경련이 동참을 적극 독려하고 있지만 삼성을 비롯한 4대 그룹은 쉽사리 결정하긴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4대 그룹은 아직 전경련 회원사로 복귀하지 않았고, 일본 피고 기업들도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나서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이 1961년 설립한 이후 재계를 대표하는 경제단체 역할을 했다. 하지만 삼성은 국정농단 사건을 계기로 지난 2016년 4대 그룹 중 가장 먼저 전경련을 탈퇴했으며, 이어 LG, SK, 현대차도 탈퇴했다. 이들 4대 그룹은 2015년 기준 전경련의 전체 연간회비 492억원 가운데 약 80%에 해당하는 378억원을 부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LG는 1998년 정부 주도 반도체 빅딜 과정에 주도적으로 개입한 전경련과 척을 진 이후 행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SK 최태원 회장의 경우 현재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어 전경련에 힘을 실어주기 쉽지 않다.

이주선 기업&경제연구소장은 11일 <이코리아>와 통화에서 "포스코나 KT&G 등 명백하게 청구권 자금 수혜를 입은 기업들이 미래파트너십에 종자돈을 내야하는 것"이라면서 "4대 그룹이 기금에 참여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경련 가입과 관련, "김우중 전 대우 회장 이후 4대 그룹에서 전경련 회장을 맡은 적은 없지만 과거 전경련이 정부와의 독점적인 소통 통로 역할을 했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4대 그룹 각자 따로따로 (정부소통)창구가 있는데다 4대 그룹보다 전경련의 협상력이 높은 게 아니라서 재가입으로 인한 이득은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