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금리상승과 함께 시작된 증시 침체로 증권사 실적이 둔화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체율도 높아진 만큼, 리스크 관리 역량에 따라 올해 증권사들의 실적이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증권사들은 지난 2021년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 중인 증권사 58개의 지난 2021년 당기순이익은 9조941억원으로 전년(5조8973억원) 대비 54.2%(3조1968억원)이나 늘어나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이 이끈 증시 호황 덕분에 개인투자자들의 참여가 늘어난 데다, IPO(기업공개) 시장 활황으로 IB(기업금융) 부문 수익도 급증했기 때문. 실제 미래에셋증권(1조4855억원), 삼성증권(1조3087억원), NH투자증권(1조2939억원), 한국투자증권(1조2889억원), 키움증권(1조2089억원) 등 5개 증권사는 영업이익 1조원을 초과하며 ‘1조 클럽’에 가입했다.

하지만 증권가의 분위기는 불과 1년 만에 크게 바뀌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58개 증권사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4조57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2%(3조2090억원)나 감소했다. 2021년 ‘1조 클럽’의 지난해 성적표도 처참하다. 국내 증권사 중 최초로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한 미래에셋증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3.1% 줄어든 8459억원에 그쳤다. 당기순이익 또한 47.7% 감소한 6194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투자증권 또한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65.9% 감소한 4409억원을 기록했다. NH투자증권(5214억원, △59.7%), 삼성증권(5786억원, △55.8%), 키움증권(6564억원, △45.7%) 등 나머지 1조 클럽 멤버들도 실적이 반토막났다. 감소폭이 50%를 넘지 않은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이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다. 그나마 메리츠증권이 전년 대비 15.1% 늘어난 1조92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지난해 유일한 1조 클럽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중소형 증권사의 상황은 더욱 어렵다. 현대차증권(1146억원, △26.8%), 다올투자증권(985억원, △33.3%) 등은 상대적으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SK증권(15억원, △97.1%), 한화투자증권(438억원, △79%) 등은 대형사보다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화투자증권은 지난해 47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최근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CERCG) 관련 소송에서 일부 패소해 원고에게 배상액을 선지급한 영향 때문이다. 

새해 들어 증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증권업계가 마음을 놓기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증권업계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지난해 9월말 기준 4조8천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3.6% 증가했다. 보험(44.1조원), 은행(34.1조원) 등과 비교하면 규모나 증가폭이 크지 않지만, 문제는 연체율이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지난해 9월말 기준 8.2%로 전년말(3.7%) 대비 4.5%포인트나 상승했다. 2위인 저축은행(2.4%)보다 세 배 이상 높은 수치다. 금리상승으로 부동산 경기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증권사의 부동산 PF 리스크는 계속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5일 보고서를 내고 “2022년 하반기 급격한 금리상승과 더불어 4분기 레고랜드 여파로 부동산금융이 본격적으로 위축되며, PF유동화증권 시장 변동성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이로 인한 IB부문의 신규 딜 수임 저하, 채무보증 수수료 역마진, 브릿지론 등 고위험 부동산금융의 건전성 저하 등으로 인한 거액의 충당금 설정, 채권 운용 손실 등이 업권 실적 하락의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이어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유동성 과잉 시기에 고위험 부동산금융 익스포져 확대를 통해 급성장했기에, 지방 소재 사업장 브릿지론의 부실화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며 “증권사의 실적 하락은 2023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그 규모와 지속성, 회사별 대응력에 따라 신용도가 차별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