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체험관에 비치된 체험용 키오스크. 사진=김윤진 기자
디지털체험관에 비치된 체험용 키오스크. 사진=김윤진 기자

[이코리아] 노년층의 디지털 역량은 학력과 관계가 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기나 서비스 설명서에 일정 학력수준을 요하는 외국어가 포함된 경우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디지털 격차 해소에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노년층 성취자본이 디지털 자본 획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를 지난달 30일 발간했다. 저자는 김봉섭 연구위원과 NIA 출신인 경북대학교 고정현 연구원이다. 보고서에서 성취자본은 학력·소득·정서·사회를, 디지털 자본은 활용 역량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성취자본과 디지털 자본 간 관계를 조사한 배경에 대해 “그 어떤 계층보다 노년층이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현상이 심각하다”며 “디지털 격차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뒤, 노년층 디지털 소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매년 커지고 있다. 디지털 격차를 주제로 한 논문은 2020년과 지난해 각각 84건과 87년이었다. 관련 논문이 처음 등장한 1999년 이래 가장 많았다. PC·스마트폰 등 새로운 기기가 보급되면서, 격차를 벌리는 요인도 많아진 탓이다.

새로 배워야 할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노년층에 부담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게임 ‘앵그리버드 스페이스’가 이용자 5000만 명을 확보하는 데 걸린 시간은 31일에 불과했다. 같은 이용자 수 유치에 전화 15년, 라디오 10년, 아이팟 5년, 스카이프가 2년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디지털 기술 보급 속도가 얼마나 빨라졌는지 체감 가능하다.

코로나19 확산도 노년층을 사회로부터 고립시킨 요인이었다. 마스크 구입 정보를 알리는 서비스가 모바일 앱으로 출시된 데다, 키오스크 보급률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기기 사용 시 타인의 도움을 받기 어려워진 것도 문제였다.

노년층 중에서도 학력·정서·사회자본이 부족한 이들은 디지털 기기 적응에 더 불리했다. 다만 소득은 노년층의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력은 태도 형성에 깊숙이 관여했다. 디지털 기술을 배울 때 이용법이과 메뉴, 용어 등이 외국어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기 보급돼도 디지털 역량 제자리, ‘교육’ 필요

키오스크 교육용 앱을 실행한 모습. 사진=김윤진 기자
키오스크 교육용 앱을 실행한 모습. 사진=김윤진 기자

연구진은 디지털 격차 해소의 열쇠를 ‘활용 교육’이 쥐고 있다고 판단했다. 학력과 디지털 역량 간 관계가 깊다는 조사 결과에 기인한다. 또한 디지털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학습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도 중요하다고 봤다.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지역사회 내 디지털 조력자 확보 ▲디지털 복지사 등 복지 제도 마련 ▲지역사회 기반 온라인 서비스 구축 등이다.

연구진은 “20년 전에는 기기가 보급되면 디지털 격차가 곧 사라질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이 있었는데, 이런 전망은 빗나갔다”며 “노년층 디지털 격차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고, 새롭게 배워야 할 디지털 기술은 단순 이용법 같은 도구적 차원의 지식수준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또 “정서자본(삶에 대한 만족감) 확충을 위해서는 노년층에 대한 나머지 세대의 인식 개선을 통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라며 “노년층을 사회가 짊어질 부담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세대 통합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정부는 현재 ‘디지털배움터’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육을 실시 중이다. 디지털배움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디지털 교육 플랫폼이다. 오프라인 교육장은 주민센터·도서관·복지관 등에 포진해 있다.

서울시에서는 노년층을 위한 1 대 1 반복 교육도 진행한다. 현장교육 여건이 어려운 이들에게는 서울디지털재단 스마트서울캠퍼스 누리집을 통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