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쪽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쪽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로또에 당첨돼도 서울에 아파트 한 채 마련하기 힘들다”

가파른 집값 상승세로 무주택자들의 자조 섞인 농담이 늘어가고 있다. 늦기 전에 주택을 매입해야 한다는 ‘패닉 바잉(panic buying, 불안심리로 인한 매수)’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얼마 남지 않은 저가 아파트를 찾아나선 서민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지난 6·17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의 시가 3억원 초과 아파트를 사면 전세대출을 회수하는 조치가 지난 10일부터 시행되면서, 얼마 남지 않은 ‘3억원 이하 아파트’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서울에서 3억 이하 아파트 매물을 찾기는 쉽지 않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 가격은 9억2509만원, 중위 가격은 7억2500만원이다. 3억원 이하 아파트는 평균의 3분의 1 수준인 셈. 

이 때문에 ‘서울 3억원 이하 아파트’는 마치 ‘유니콘’ 같은 환상 속의 존재로 보이지만, 적은 매물이나마 아직 남아있는 곳이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6·17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달 12일 기준 서울 25개구의 아파트 중 3억원 이하 아파트는 전체(124만9389채)의 3.48%(4만3501채)였다. 

특히 강남·강동·광진·동대문·동작·마포·성동·송파·영등표·용산 등 10개 구에서는 3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0%대에 불과했으며, 성동구의 경우 3억원 이하 아파트가 단 한 채도 없었다. 

반면 도봉(23.11%), 중랑(10.82%), 금천(10.13%)에서는 3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서울시 내에서 3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10%를 넘은 자치구는 세 곳뿐이다.

물론 3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높다고 해서 막상 매입하려고 들면 쉽지만은 않다. 연이은 가파른 집값 상승세와 연이은 부동산 대책으로 “지금 사야 한다”는 ‘패닉 바잉’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거래량은 1만9463건으로 전월 대비 89.8%나 폭증했다. 수도권으로 범위를 넓혀도 7만5534건으로 전월 대비 87.8%나 늘어났다.

늦기 전에 주택을 매입해야 한다는 초조함이 퍼지다보니 3억원 이하 아파트 매물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24일 <이코리아>가 부동산114에서 25개 자치구별로 3억원 이하 아파트 매물을 조사한 결과 등록된 매물은 100건에 불과했다. 10건 이상 등록된 곳은 구로구(21건), 관악구(12건)뿐이었다.

게다가 저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도 점차 상승하는 추세다. 실제 도봉구 쌍문동 한양2차아파트 전용면적 48.96㎡는 6·17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달 15일 2억3300만원에 거래됐으나, 이달 21일 3억2000만원에 팔리며 3억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저가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는 이유는 부동산 대책의 풍선효과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12·16대책으로 9억원 이상 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저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

일각에서는 강력한 주택공급대책을 통해 시장의 불안을 가라앉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현아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은 지난 16일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정부가 앞으로는 공급이 부족하지 않다고 하면서 뒤로는 공급 확대와 관련된 사인을 계속 내놓고 있다”며 “그새 집값은 오르고 다주택자들은 집을 내놓지 않아 물건이 잠기고, 현금 부자들만 집을 살 수 있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패닉 바잉’ 같은 비정상적 상황이 초래됐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이어 “서울 내 유휴부지를 더 많이 찾아낼 수 있다. 재개발·재건축을 완화하거나 상업용 공간을 주거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며 “기존에 다른 땅을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지도 않고 그린벨트를 해제하면 우리가 얻는 이득보다는 잃는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더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