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은 2011년에 시작된 전기요금을 다섯 번째로 2013년에 5.4% 또 인상하였다. 다섯 번에 걸친 가격인상의 효과로 한국전력은 2013년말 겨우 적자기업을 벗어나서 흑자 기업이 되었다. 그리고 흑자 행진이 진행되었다.

흑자 기업이 된 한국전력은 2014년에는 영업이익율이 10%가 되었고, 2015년에는 19.2%의 영업이익율과 11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였다. 더구나 2016년에는 12조원의 영업이익과 19.9%의 영업이익율을 달성하였다. 이것은 한국전력 역사상 최대 성과였다. 2012년 이전에는 적자 또는 1조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음과 비교하면 엄청난 성과였다.

더구나 2015년에는 한국전력 본사 부지를 현대차그룹에 매각하면서 8.9조원의 특별한 기타수익을 올려서 법인세전 순이익이 18.6조원에 달하는 큰 경사도 있었다. 불과 2년전인 2013년 법인세전 순이익은 -3,964억원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영업이익은 2013년에 겨우 발생하였지만 법인세전 순이익은 적자였던 한국전력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든 면에서 최대의 호황을 누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마냥 좋을 것만 같던 한국전력의 손익이 갑자기 악화되기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였다. 2016년 12조원을 자랑하던 영업이익이 사라져버리고 겨우 5조원의 영업이익을 남겼다. 급기야 2018년말에는 2,080억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하였다. 2019년도 2018년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2015년과 2016년의 영업이익이 분식회계에 의한 거짓이었을까? 이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업이익과 영업활동현금흐름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2015년이나 2016년뿐만 아니라 모든 연도에서 분식회계의 흔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2015년과 2016년의 11조원과 12조원에 달하던 영업이익이 갑자기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이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매출원가율의 변동을 점검해보고 그 다음에 판매관리비의 변동을 점검해보면 원인을 확인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독자들도 익히 아는 것처럼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하면 남는 것이 매출이익이다. 이 매출이익에서 판매관리비를 제외하면 남는 것이 영업이익이다. 그런데 한국전력의 매출원가율을 보면 2012년과 2013년과 2018년은 정상적인 기업이라고 할 수가 없을 정도다. 매출원가율이 94% 또는 96% 또는 98%라면 판매관리비와 순영업외비용을 반영하면 적자는 필연이다.

그런데 2013년 이후 전기요금의 추가 인상 또는 인하는 없었다. 그렇다면 2015년과 2016년의 매출원가율은 어디로 가고 2017년부터 시작하여 2018년 2019년 같은 수준의 매출원가율이 되었을까? 이것은 2015년과 2016년의 영업이익을 과신하여 매출원가 상승을 부채질한 환경과 경영진의 무능함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어떻게 76%였던 매출원가율이 2년만에 96%가 될 수 있단 말인가? 

그 다음으로 판매관리비를 살펴보자. 판매관리비를 비교해보고 나서 터무니 없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왜냐하면 2012년과 2013년에 1.7조원하던 판매관리비가 2016년부터 2.6조원으로 급증한 것이다. 이것은 2015년의 한전 본사 매각 특별이익 8.9조원에 취해서 과다한 지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전력은2016년부터 판매관리비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방만하게 운영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가 없는 것이다.

여기서 한국철도공사가 4,000억원의 분식회계를 하여서 성과급 잔치를 한 것을 감사원에서 적발하여 징계와 성과급 반납을 한 것과 비교해보아야 한다. 한국철도공사는 1,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한 것을 2,900의 영업이익이 난 것처럼 분식회계를 하였다고 한다.

분식회계만 하지 않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일까? 한국전력의 2016년과 2017년과 2018년의 2.6조원 판매관리비는 방만한 지출인 것이다 이것은 오히려 2015년 수준 2.1조원 수준으로 환원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2.6조원의 판매관리비를 방치하고 매출원가율이 96%인 비정상에 대하여 아무런 설명과 해결 노력도 없이 2011년과 2012년과 2013년에 있었던 5번의 전기요금 인상을 2020년에 꾀한다면 국민적인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