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의 2023년 6월 경제전망 중 인플레이션 전망(G20 국가). 자료=기획재정부
OECD의 2023년 6월 경제전망 중 인플레이션 전망(G20 국가). 자료=기획재정부

[이코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오이시디)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1%포인트(p) 내린 1.5%로 내다봤다. 민간 투자부진과 반도체 수출 감소가 이유다. 또 물가 상승률은 내년 하반기에나 2%대로 내려갈 것으로 보면서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내년 하반기까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7일(현지시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실질 성장률이 올해 1.5%로 둔화하고 내년에 2.1%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석 달 전 제시한 1.6퍼센트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앤데믹에 따른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민간 소비가 늘기는 했지만, 고금리와 주택시장 부진에 민간 투자가 저조하고, 중국 등 세계적 수요 둔화에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도 감소하고 있는 탓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이번 OECD 전망치보다도 낮은 1.4% 성장률을 제시한 바 있다. 

OECD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도, 종전 2.3%에서 2.1%로 낮췄는데, 이는 한은(2.3%)과 국제통화기금인 IMF(2.4%)의 전망보다 어둡다. 

다만 “고금리와 주택시장 부진은 민간소비·투자에 단기 부담 요인이나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반등이 이를 상쇄할 것”이라고 OECD 측은 설명했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7%로 3월 전망치보다 0.1% 상향 조정했다. 앞서 세계은행(WB)이 제시한 2.1% 성장률보다는 긍정적인 전망치이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을 제외하고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경제 회복이 과거 위기 때와 흡사할 만큼 취약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중국과 미국의 경우 올해보다 성장률이 대폭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경우 금리 인상 효과가 시차를 두고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중국의 경우 공급망이 미국 동맹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됐다. 

미·중 등 주요 교역국들의 상황이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수출 다변화에 속도가 붙지 않으면 우리 경제는 내년에도 큰 폭의 회복세를 보이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이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아진 3.4%로 예측했다. OECD는 "공공요금과 서비스 가격 조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점을 감안 할 때 물가가 완만하게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내년 하반기에나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대(2.6%)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그때까지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현 수준(3.5%)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윤상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팀장은 8일 <이코리아>와 한 통화에서 "서비스 물가는 한 번 오르면 천천히 파급되며 오래도록 내려가지 않는 특성이 있다. 금리 정책도구가 경제 활동에 주는 무차별적인 효과를 우려하는 입장에서 한은이 지금의 금리를 좀 더 유지하지 않겠느냐 하는 것이 OECD의 분석으로 본다"고 말했다. 

세계경제가 좋지 않을 때 원화가 약세이면 수출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해서 우리나라 성장률을 올리고 환율이 다시 안정세로 가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현재는 그 매커니즘이 똑같이 작용할 것이냐에 물음표가 붙은 상황이라는 것이 윤 국제거시팀장의 설명이다. 

윤 국제거시팀장은 "동아시아 교역이 지금껏 서로 받쳐주며 전체 교역권의 성장을 도왔는데, 지금은 경기 변동의 문제가 아니고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해 판 자체가 변하고 있는 초입"이라면서 "대중국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게 장기적으로는 정치적 리스크를 줄이는 면이 있겠지만 공급망을 다변화할수록 관리비용이 늘고 불확실성이 높아져 이 또한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 수출주력품목들이 전 세계적으로 성숙한 산업에 진입한데다 새로운 먹거리가 부족한 상황"이라면서도 "기업들이 생산기지 다변화 등의 노력이 지금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