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시 재난문자. 출처-안전디딤돌]
[사진-서울시 재난문자. 출처-안전디딤돌]

[이코리아] 31일 서울시와 행안부가 번갈아 보낸 ‘경계경보’와 ‘오발령’ 문자로 시민들은 혼란을 겪었다. 이번 사태가 남긴 교훈은 명확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위급 상황 발생시 국민들에게 명확한 이유와 대피요령을 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발령 논란도 그렇거니와 시민들은 어느 대피소를 어떻게 찾을지 몰라 당황했기 때문이다.

[사진-2022년 11월 울릉도 공습경보 문자]

지난 해 11월 울릉도에 공습경보가 내렸을 때에도 25분이나 지난 늑장 문자로 인해 주민들이 혼란을 겪은 적이 있다. 그러나 어제 서울시에서 발송한 재난문자와 비교해 봤을 때 그 울릉군의 재난문자는 경보의 이유와 행동요령이 적혀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시에도 울릉 주민들은 “어떤 이유로 사이렌이 울렸는지 알 수 없어서 불안하고 뒤늦게 대피 방송이 나왔지만, 마을 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도 없어 답답한 상황이 계속됐다”며 분통을 터뜨렸었다. 

울릉도 공습 경보와 서울시 경계경보의 공통점은 정보의 부재다. 다수 시민들은 위급재난문자의 발송이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행동요령이 빠진 부실한 문자내용이 문제라고 말한다.

부족한 정보로 불안한 시민들이 대피소 정보를 찾기 위해 정부대표 재난안전 포털 앱인 ‘안전디딤돌’와 ‘국민재난안전 포털’의 접속을 시도했지만 사용자가 많아 불가능했다는 불만도 속출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제대로 상황을 알려주지도 않으면서 대피하라는 문자에 더욱 혼란했다”며 “이번 일로 휴전국가인 우리나라의 안보현실을 깨닫는 계기가 됐다며, 이 기회에 정부가 제대로 된 매뉴얼과 대피소 앱 등을 안내·홍보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전문가들은 재난 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 각각이 비상대비용품을 담은 비상용 백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비상용 백에는 비상식량, 물, 응급약품, 손전등, 라디오, 건전지, 호루라기, 여분의 휴대전화 배터리 등과 편안한 신발, 가벼운 우비, 얇은 담요, 보온력이 좋은 옷을 준비해야 한다. 또한, 가족연락처, 행동요령, 지도 등이 있는 재해지도 또는 수첩도 필수적이다.

[사진-안전디딤돌 앱에서의 재난 문자]
[사진-안전디딤돌 앱에서의 재난 문자]

대피소의 위치는 행정안전부 안전디딤돌 앱과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전디딤돌 앱의 경우 재난문자 확인시 국민행동요령과 시설물 찾기가 같이 나오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위치 조회를 통해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은 주소 검색을 하기 때문에 내 주변에 대피소가 있는지 한 눈에 보이지 않아 가까운 대피소를 찾기 어렵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럴 경우, 지하철역, 지하 주차장, 대형건물 지하실 등 대피소 표지판이 부착된 지하 시설을 찾으면 된다.

그러나 재난문자 확인후 검색시 어제와 같이 사용자가 많아 불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직접 찾아보고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대한 대피 시간이 짧은 대피소를 찾고, 이동 경로에 대형 유리나 간판 등 위험 요인이 있는지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