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이코리아] 올해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빠르면 2024년 수출 7000억 달러 시대로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수출이 늘어도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하락세가 진행되고 있어 이에 맞는 고용지원책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6.0% 증가해 금년 수출은 역대 최고실적(6450억 달러 내외) 달성이 확실시된다. 

◇2024년 연간 수출 7000억 달러 진입 예상

올해 수출실적 전망치인 6450억달러를 베이스로 향후 3~4년 한국의 수출이 최근 5년(2017~2021년) 연평균 수출증가율(2.97%)의 추세를 이어나갈 경우, 빠르면 2024년 연간 수출 7000억 달러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수출 7000억달러 달성 국가는 코로나19 경제위기 발생하기 전 2019년 기준 중국,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 5개국에 불과하다.  

전경련은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5000억달러 수준에서 제자리 행보를 이어 온 수출이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하고, 앞으로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무엇보다 우리 기업의 이차전지,바이오·헬스, OLED, 전기차 등 신성장동력에 대한 과감한 선행투자의 결실이 코로나19를 계기로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교역이 올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난데 이어 2025년까지 3% 중반대 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IMF는 10월 세계경제 전망을 통해 금년도 세계 상품 수출이 가격 기준으로 2020년 대비 23.3% 증가하고 내년에도 7.6%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스탠다드차타드그룹은 지난 25일 ‘무역의 미래 2030: 주목할 트렌드와 시장’ 보고서를 통해 한국 수출이 향후 10년간 연평균 7.1% 증가하고 2030년 1조 달러에 육박할 것이라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은 2011년 5000억달러를 달성한 이후 10년간 5500억달러 수준 정체기를 겪었다. 이는 코로나19 글로벌 경제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기준 13대 주력 수출품목을 2011년과 비교하면, 반도체, 일반기계 2개를 제외한 11개 품목의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2011년 1위 수출실적을 기록한 선박류 수출은 2019년 2011년 대비 364억달러나 줄었다.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수출 늘어도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하락세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SSD, OLED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출의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2016년 이후 글로벌 분업화 심화, 기술혁신에 따른 노동생산성 향상으로 하락세에 있다. 이처럼 취업유발효과가 낮아지고 있는 것은 일자리창출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도체 수출 비중이 약 20%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으로 전경련 측은 분석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취업유발효과가 낮은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이 증가하는 등 우리 수출구조의 질적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에 맞는 고용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김봉만 실장은 통상정책 차원에서는 “수출 7000억달러 시대의 조기 달성을 위해 수출 비중이 큰 국가·지역을 중심으로 맞춤형 통상과제를 발굴하고 실행해야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