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UNECE 홈페이지 캡처)
지난 10월 31일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막했다. 120여 개국 정상 등 2만50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이는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다. (출처=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 홈페이지 캡처)

[이코리아] 산업통상자원부는 김효은 기후변화대사가 10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될 제4차 ZEVTC(Zero Emission Vehicle Transition Council) 회의에 참석해 수송 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회원국들과 의견을 교환한다고 밝혔다. 

ZEVTC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의장국인 영국이 글로벌 차원의 무공해차 전환 가속화를 위해 2020년 11월 창설한 장관급 협의체다. 

‘글로벌 차원의 무공해차 전환’ 세션에서 김 기후대사는 우리나라의 수송 부문 탄소중립 실천 계획을 설명하고, 개도국의 무공해차 전환 지원방안에 대해 언급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2030년 NDC를 기존 26.3%에서 40% 감축으로 상향한 바, 수송 부문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7.8% 이산화탄소(CO2) 감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연비 규제, 저공해차 보급목표제 등을 강화하고, 사업용 차량 우선전환, 보조금·세제 인센티브 부여,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전기차·수소차 보급을 가속화해 나갈 계획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ㆍ수소차 450만대, 하이브리드 400만대를 보급하며, 2025년까지 전기충전기 50만기, 수소충전소 45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개도국의 무공해차 전환 지원을 위해 국내 업계의 개도국 현지 전기차 생산 및 배터리 공장 투자 사례를 소개하고, 정부차원에서도 내년부터 인도네시아를 대상으로 ODA사업에 착수하며 앞으로 점차 대상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임을 밝힌다. 또 개도국에 대한 보다 효율적 지원을 위해 WB, ADB 등 국제개발은행에서 협력 프레임을 만들고 관심 국가가 참여하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자고 제안한다.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세션에서 김 기후대사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점유율 1위(39.8%, 2020년) 국가인 한국이 ▲ 탄소저감 공정 및 배터리 성능 개선 기술개발, ▲ 사용 후 배터리 성능·안전 평가 시스템 마련, ▲ 배터리 수거, 재활용 인프라 구축 등 배터리 전주기 차원의 탄소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앞으로 국제사회의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이러한 한국의 정책적 노력과 사례를 적극 공유해 나갈 계획임을 설명할 계획이다. 

한편, 같은 날 의장국 영국은 COP26을 계기로 글로벌 차원의 무공해차 전환 촉진 계기 마련을 위해 ‘100% 무공해 자동차로의 전환 가속화에 대한 COP26 공동 선언’ 채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공동선언의 주요 내용은 “2035년까지 주요 시장(미국, 중국, EU, 일본), 2040년까지 전 세계 시장에서 신차 판매는 100% 무공해 자동차가 되도록 노력(work towards)한다”이며, 국가 이외에도 지방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이 참여가 가능하다. 

참여확정 국가는 네델란드,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핀란드, 리투아니아, 폴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아르헨티나, 인도 등이다. 참여확정 기업으로는 볼보, 다임러, BYD, 재규어&랜드로버 등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무공해차 전환에 대한 큰 맥락에서는 동의하지만, 달성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이번 공동선언에 참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독일, 일본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도 우리와 유사한 이유에서 서명하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 울산, 세종, 제주, 강원, 충남 6개 지자체는 지자체장의 수송분야 탄소중립 의지 등을 바탕으로 지방정부 차원에서 이번 공동 선언에 참여할 계획임을 밝혔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