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세종대 교수. 사진=뉴시스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세종대 교수. 사진=뉴시스

 

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최근 '위안부=매춘부) 주장을 한 존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옹호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박 교수는 지난 2일 페이스북을 통해 "하버드대 교수의 글을 아직 읽어 보지 못해서 정확히 말할 순 없지만, 무조건 망언이니 심지어 전범 기업교수니 할 이야기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며 "보도만 보자면 이 교수의 주장은 역사적 디테일에선 크게 틀리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램지어 교수가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라는 공식 직함으로 재직 중인 점을 들어 '전범기업 후원 교수'라는 비판을 듣는 것과 관련, 미쓰비시 중공업을 전범 기업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미쓰비시를 전범 기업이라고 하는 것도 문제지만 기업의 연구비가 역사·정치적 목적으로 주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위안부는 매춘부'라는 주장에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며 "매춘부와 성노예 담론 모두, 양쪽 다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중국 우한에 위안부 공양비를 세운 것을 예로 들었다.

박 교수는 "위안부의 공양비는 말하자면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진 비"라며 "일본군이 위안부를 왜 위로했을까. 물론 강제로 끌어와 강제노동을 시킨 노예를 위로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하지만 이 공양비가 의미하는 건 위안부와 군의 관계가 일방적으로 압박받는 존재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선인 군속이 고작 남의 물건을 훔쳤다는 이유로 그 자리에서 즉각 '처단'까지 했던 일본군이 다른 한편으로는 폭격으로 죽은 조선인 위안부를 수습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조선인의 생명에 대한 이 군인의 양가적 태도는, 오로지 규율을 위반했는지 여부에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위안부 시신을 수습하고 위로했던 이유는 위안부가 '준군속' 같은 존재였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물론 위로를 받았다고 해서 피해자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되는 건 아니다. 징용이나 징병처럼 동원당한 건 사실이지만 남성 피해자에 비해 여성 피해자들은 '법'이라는 강제틀 바깥에서 동원됐다"고 말했다.

이어 “30년이나 양쪽 극단의 주장에 휘둘려 왔지만 이제는 그 대립을 지양할 때가 됐다”며 “‘성노예’서을 유포·확산·정착시켜 온 학자들은 아마도 당혹스러울 것이고 비난과 규탄에 나서겠지만, 미국 학자까지 이 싸움에 등판하도록 만든 건 바로 그들 자신이라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 교수는 2015년 자신의 책 ‘제국의 위안부’와 관련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됐다. ‘제국의 위안부’에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또는 강제연행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 등이 담겼으며 일본제국의 일원으로서 일본인 병사들을 정신적·신체적으로 위안해 주는 위안부로 생활하며 일본군과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 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법원은 박유하 교수의 저서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하고 인격권을 침해했다며 9천만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