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 작가가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달 너머로 달리는 말' 장편소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김훈 작가가 16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달 너머로 달리는 말' 장편소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코로나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여러 전문가의 얘기가 엇갈리고, 예언가와 약장수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결국 이것도 약육강식을 심화하는 방식으로 가지 않을까, 더위와 함께 사회의 최하층부를 강타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칼의 노래’ 작가 김훈(72)의 말이다. 민초들의 고단한 삶과 끈질긴 생명력에 천착해온 김훈. 그의 눈에 비친 코로나 19 사태는 역사 속 민초들이 겪어온 질곡과 다를 바 없다. 예언가와 약장수들의 말의 성찬은 현재진행형이지만 민초에겐 구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약육강식은 동물의 세계에만 존재하는 건 아니다. 인간의 세계에서는 그보다 더 파괴적인 형태로 약육강식이 되풀이돼 왔다. 

김훈의 신작 ‘달 너머로 달리는 말’은 말의 생각으로 인간의 세계를 묘사한 첫 판타지 소설이다. 작가는 신작 기자 간담회에서 이 소설의 집필 동기를 설명하며 "고대사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는 수백년을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싸웠다. 삼국사기에 보면 김부식이 피가 강물처럼 흘러서 방패가 떠내려갔다고 썼다. 과장된 표현이겠지만 그 시대의 풍경이 인간의 감성에 그렇게 비친 것이다. 한국 고대가 불교, 부처님의 자비를 국가 이데올로기로 선택한다. 진보냐 보수냐, 좌파냐 우파냐 그런 이데올로기가 없다. 그럼에도 어떻게 피가 흘러 방패가 떠내려가도록 싸울 수 있는지, 그 뿌리는 무엇인지 그런 야만의 과정에서 문화가 비롯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고, 끝없이 짓밟히면서도 저항하고 도망치려 하는 그런 생명들의 모습을 담아보려고 했다."고 밝혔다. 

작가는 또 “야만과 폭력에 끝없이 짓 밝히면서도 저항하고 도망치고 다시 잡혀 오는 생명의 모습을 써보려 했다”라는 말도 했다. 작가는 반문한다. “이 시대의 가장 큰 야만은 약육강식이고, 그것이 심화하는 것이다. 약자가 살기 위해 자신의 머리를 강자의 고기로 내어줘야 한다면 인간이 살 수 없는 세상 아닌가.”라고.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