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조합원들이 파업 찬반투표를 하고 있다. © News1
【서울=이코리아】오는 13일로 예정된 금속노조 총파업에 현대차 노조가 선봉에 나선다.

현대차 노조는 4대 요구안을 적극 알리기 위해 지난주부터 홍보차량을 만들어 울산 전역을 돌고 있다. 라디오 홍보도 적극 진행하고 있다.

노조가 조합비를 털어 홍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이번 총파업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요구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또 심야노동 철폐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현대차에서 제동이 걸려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사안이다.

요구안의 핵심고리가 현대차인 이상 현대차 노조가 부담스럽다는 이유로 선봉에 나서지 않을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힘들다는 사측 태도 이해 못해...노조 총파업 강행

현대차 노조가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총파업을 선언하자 사측은 '정치파업'으로 몰아갔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는 9번의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사측이 비협조적인 자세로 나와 도저히 협상이 진행될 여지가 없었다고 항변한다.

현대차 노조는 교섭에 속도를 내기 위해 6차 교섭때 주 2회 교섭을 주 3회로 늘리자고 제안했지만 사측은 다른 회사 일정이 있어 어렵다는 답만 던졌다.

7차 교섭때 교섭시간을 2~3시간이라도 더 늘리자고 제안했지만 사측은 또 열차시간 운운하며 반대했다.

그런 상황속에서 현대차 노조는 주간연속2교대제 시행을 사측에 촉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올해도 '좀 더 연구해보자'는 말만 되풀이했다.

권오일 현대차 대외협력실장은 "근무형태변경추진위에서도 있는 이야기, 없는 이야기 다 나왔다고 말하는 상황"이라며 "사측 결단만 남았는데 이번 협상테이블에서조차 구체적인 실행의지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업계에서 주간연속2교대제를 처음으로 제시한 곳은 현대차 노조다.

2004년 노동시간 단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간연속2교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사측에 요구했다.

이에 따라 근무형태변경추진위가 구성됐고 이듬해인 2005년 주간연속2교대제를 2009년부터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사측 요구에 따라 합의는 파기됐다.

이에 반해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는 게 노조의 판단이었다.

현대차의 지난해 순이익은 8조원으로 사상 최대였고 장시간근로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됐지만 사측은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내놓지 않았다.

노동자들이 심야노동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현대차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5만대 더 늘어난 194만5000대다.

그런데도 인원 충원은 없다는 사측의 태도에 노조가 협상테이블을 차고 나온 것이다.

권 실장은 "현대차의 장시간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사내하청은 물론 부품업체의 장시간근로 문제 개선도 요원하다"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현대차 노조가 앞장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도 똑같다.

현대차 사내하청에서 근무하던 최병승 씨가 제기한 소송에서 대법원은 최씨를 정규직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결내렸다.

그러나 사측은 최씨가 불성실한 근무태도로 해고가 된만큼 부당해고로 볼 수 없다며 정규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번 협상테이블에서 노조가 특별교섭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를 꺼냈지만 사측은 파견법이 바뀌는 오는 8월 이후 별도로 논의하자고 답했다.

오는 8월 적용되는 파견법에는 불법파견으로 확인되면 근무한 지 2년이 되지 않았더라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그러나 노조는 이는 2년 미만인 사내하청 비정규직 1400명에 해당하는 이야기일 뿐이지 2년이 지난 사내하청 비정규직 근로자 6000명은 지금 당장 시행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현대차의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은 24.3%로 기아차의 11.9%보다 2배 높다.

현대그룹사인 현대제철은 57.7%, 현대모비스는 121% 등으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더 많은 실정이다.

◇강성노조 집권으로 노조 결집력 제고

금속노조 중심으로 뭉쳐야 최소한의 권리를 찾을 수 있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연대성 회복 차원에서 파업에 나선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의 경우 전임 현대차 집행부는 온건 성향으로 금속노조의 투쟁에 함께 하지 않아 '3년간 무분규 교섭'을 해왔다.

강성인 박상철 금속노조 위원장과 불협화음이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당선된 문용문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박 위원장과 함께 강성으로 투쟁을 통해 협상을 이끌어낸다는 기본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또 타임오프 시행으로 현대차 노조 활동이 열악해졌지만 기업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탓에 연대파업의 총대를 맸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현대차는 타임오프 시행으로 230여명에 이르던 노조 전임자를 26명으로 줄였다. 1/10으로 줄어든 셈이다.

26명으로 4만2000명의 조합원을 관리할 수 없어 무급 전임자 85명을 뒀다. 이들 임금은 노조 경비에서 충당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지난 1일 26명에서 7명을 또 줄이라고 통보해왔다.

1일자로 근로시간 면제한도가 4만8000시간에서 3만6000시간으로 축소돼 근로시간 면제자 수도 현행 26명에서 19명으로 축소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권 실장은 "사측은 법 때문에 어쩔수 없다고 말하지만 정작 노동부는 노사간에 합의를 통해 문제를 잘 풀어라고 말한다"며 "협상의 여지가 있는데도 사측은 '법대로 하자'는 식으로 나와 진전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 3년간 무분규 타결을 해오면서 조합원 내 분위기가 상당히 가라앉은 것도 사실이다.

이에 대해 문용문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 지도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현장을 뛰어다니며 조합원들을 독려하고 있다.

이번 총파업이 어떤 결실을 맺느냐에 따라 문 위원장의 노조 장악력도 판가름 나기 때문에 집행부 또한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뉴스1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