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6일 단일화 논의를 위한 첫 회동을 통해 후보등록일(오는 25~26일) 전 단일화에 합의하는 등 양측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해낸 것으로 평가된다.

야권의 주요 후보들의 단일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이번 대선 판도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맞붙는 2파전이 될 전망이다. 향후 대선판도가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동에서 두 후보는 서로의 입장을 적극 반영하는 결과를 얻어냈다. 문 후보는 그동안 강력 주장해온 단일화와 관련해 원칙 합의를 넘어 구체적인 시점까지 명문화함으로써, 안 후보는 정치쇄신에 대한 구체적 실행계획을 확정받음으로써 두 후보가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두는 '윈윈'을 이뤄낸 것이다.

일단 단일화 시점을 못박은 점은 문 후보의 적극적 요구에 안 후보가 호응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문 후보는 정통 대표 야당인 민주통합당의 대선주자로서의 위상을 갖고 정권교체 의지를 강력 밝혀왔으나 국민적 지지를 광범위하게 받고 있는 안 후보로 인해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안 후보가 무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대선을 40여일 남겨둔 최근까지 박 후보와 박빙의 경합을 벌일만큼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정통 야당을 내세운 민주당 문 후보로서는 대선 구도가 3파전으로 흘러갈 경우 야권 후보의 필패 가능성을 크게 우려하는 상황에 까지 이른 것이다.

즉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의 경쟁구도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범야권의 단일 후보 필요성을 절감할 수 밖에 없었고 그 차원에서 안 후보와의 단일화를 적극 모색해왔다.

안 후보 역시 그동안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는데는 공감을 해왔다. 다만 단일화에 앞서 기존 정치권이 쇄신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민주당의 혁신을 유도해온 것이다.

두 후보는 이런 상황속에서 국민들의 단일화 요구가 거세지고 대선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오자 더 이상 단일화 논의를 미룰 수 만은 없다는 전략적 판단에 따라 이날 전격 합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단일화 시한을 명시함으로써 단일화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피로감이나 부정적 여론을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후보등록일인 25일 이전까지 양측이 대립하는 양상이 나타나더라도 이로 인한 부정적 여론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기한을 못박음으로써 대중들의 후보단일화에 대한 관심, 그리고 타결됐을 때의 극적효과가 약화되는 측면은 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단일화가 될 듯 안 될 듯했을 때 극적 효과가 크고 대중의 주목도도 더 커지는데 기한을 못박음으로써 그런 효과는 약화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혁신 부분에서의 합의는 민주당이 떠안아할 과제로 보인다. 여기에는 안 후보가 지금껏 주장해온 요구들이 주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즉 두 후보는 ▲정치권 기득권 포기 ▲대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한 단일화, 가치와 철학이 하나 되는 단일화, 미래를 바꾸는 단일화 등 단일화 원칙 ▲단일화 과정의 국민 공감과 동의 ▲국민연대와 새정치공동선언 도출 등에 합의했다.

이에따라 안 후보는 단일후보가 되느냐와 관계없이 정치권이 국민들의 눈높이에 걸맞는 변신을 하도록 유도하는 성과를 거두게 된 것이다.

이는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안 후보 지지층 이탈을 막는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문 후보를 지지하는 야당 지지자와 안 후보를 지지하는 중도 무당파층이 이탈 없이 결합하는 일종의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투표시간 연장과 관련해 공동캠페인을 펼치기로 한 것 역시 두 후보 지지층을 묶어두는 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 후보가 함께 캠페인에 나서는 모습이 언론을 통해 확산되면 상당한 시각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윤희웅 실장은 "투표시간 연장을 고리 삼아 새누리당을 향해 공동으로 공세를 펴면 두 후보가 실질적인 공동전선을 형성하고 함께 여당을 압박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