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리아] 위믹스 사태 이후 가상자산 발행처를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위믹스란 위메이드가 발행하는 가상자산이다.

◇”위믹스가 화수분인가” 투자자들 성토

위메이드는 최근 가상자산 시장에서 위믹스 약 5000만 개를 매도해 현금화했다. 2000~3000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위메이드의 지난 11일 코스닥 장중 최저 주가는 12만8000원까지 떨어졌다. 이달 최고점을 기록한 3일 18만8100원 대비 31.9% 하락한 수준이다. 주가는 현재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위믹스도 상황은 비슷하다. 위믹스 시세는 지난해 말부터 이달 초 1만2000원 안팎의 박스권에 머물렀지만, 18일 12시 기준 7000원대로 급락했다. 위메이드가 언제든 위믹스를 매도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투자 매력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12시까지(1시간 단위) 위믹스 시세 흐름. / 사진=업비트 

위메이드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쟁점은 ‘공시’ 여부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청사진을 기록한 ‘위믹스 백서’에 매도 계획 등 투자위험을 안내했다고 주장하지만, 투자자들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위믹스 백서 32쪽에는 “위믹스 10억 개 가운데 74%는 생태계의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영어로만 적혀 있어 국내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낮고, 직접적으로 ‘매도’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위믹스 백서에는 위믹스 10억 개 가운데 74%는 생태계의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 사진=위믹스 백서

위메이드는 위믹스 매도로 확보한 현금을 M&A에 활용했다고 밝혔다. 앞서 위메이드는 선데이토즈와 빗썸 등 지분을 인수한 바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위메이드의 M&A 자금 조달 방식이 황당하다는 기색이다. 지난 12일 유튜브 경제전문 채널 알고란에 출연한 애널리스트 출신 미르4 이용자는 “기업이 발행하고 시장에 매도해 현금화를 한다는 것은 전례가 없다”며 “위메이드가 위믹스 홀더들을 발판 삼아 성장하려는 건가라는 반응이 나온다”고 지적했다.

◇규제 공백, 기업-투자자 간 ‘정보 비대칭’ 야기

자본시장연구원 김갑래 연구위원이 지난 14일 ‘K-코인 발행 활성화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 사진=유튜브 민주ON 채널

일각에서는 투자자들의 피해를 방지하기 가상자산업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공시 의무 등 규제가 없어 가상자산 발행처와 투자자 간 정보의 비대칭 문제가 격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본시장연구원 김갑래 연구위원은 지난 14일 ‘K-코인 발행 활성화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시장 규제가 없어 투자자들이 늘 위험을 부담하고 책임 지는 구조”라며 “이런 상황에서 대형 플랫폼들만 굉장한 이익을 얻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김 위원은 위믹스 사태가 규제 공백의 폐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소개했다. 그는 “내부 정보를 가장 많이 가진 위메이드가 매도해 투자자 신뢰를 잃었다”며 “자금 조달에 유상증자보다는 코인 발행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위메이드의 공시 및 매도 방법도 문제 삼았다. 증권신고서의 경우 투자위험을 가장 앞에 명시하지만 위믹스 백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위메이드는 위믹스를 장기간 꾸준히 매도했다는 입장이지만, 모든 투자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알리고 대량 매도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쁘게 보면 조금씩 모르게 팔았다고 투자자들이 잘못 해석할 수도 있다”며 “투자자들과 정보격차가 이미 발생하고 있어 신뢰 회북 불가한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은 끝으로 “제2의 위믹스 사태가 없도록 가상자산업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최소한의 규제를 서두르고, 향후 보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위메이드는 위믹스 관련 정보를 주주 및 위믹스 투자자들에게 기존보다 명확히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