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카카오뱅크가 성공적으로 상장을 마친데 이어 올해 상반기 높은 실적을 올리며 순항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카카오뱅크의 위상이 높아지는 만큼 그에 따른 책임과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11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7억원(156%) 증가했다고 17일 공시했다. 특히 이자수익이 34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9억원(17.3%)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또한 카카오뱅크가 강조하고 있는 플랫폼 수익도 전년 동기 대비 184억원(96.2%) 늘어난 375억원을 기록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선 국내 증시 호황으로 인해 상반기에만 129만3060개(전년 말 누적 대비 43%↑)의 주식계좌가 카카오뱅크를 통해 개설됐다. 제2금융권 연계대출 실적 또한 상반기에만 1조원 이상 늘어나 전년 말 누적 대비 51% 증가한 3조1245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다양한 연령층의 고객 증가와 1400만명의 월간 모바일 트래픽(MAU)에 힘입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플랫폼과 뱅킹 비즈니스 부문이 고루 성장했다”며 상반기 실적 개선의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 2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 수는 지난해 말보다 127만명 늘어난 1671만명으로 경제활동인구의 59%를 차지한다. 특히 올해 상반기 신규고객 중 40~50대가 48%, 60대 이상이 10%였을 정도로 고객층을 중·장년층까지 확장하고 있다. 월간 모바일 앱 이용자 수도 지난해 말 1310만명에서 2분기 말 1403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으로 늘어났다. 

카카오뱅크는 수익성뿐만 아니라 내실도 단단하게 다지고 있다. 실제 2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각각 0.20%, 0.22%로 3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BIS 총자본비율은 19.89%로 지난해 말보다 0.14%p 하락했지만, 여전히 국내 은행 중 최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이다. 

카카오뱅크 주가 또한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8일 오후 1시 현재 카카오뱅크 주가는 전일 대비 4.81% 오른 9만16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자료=카카오뱅크
자료=카카오뱅크

◇ 카뱅이 풀어야 할 과제

카카오뱅크의 놀라운 실적 이면에는 아직 풀어야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플랫폼 수익 비중이 아직 높지 않다. 카카오뱅크 플랫폼 수익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불과하다. 올해 상반기 실적 성장도 플랫폼 보다는 이자 수익 증가 덕분이다. 공모가 고평가 논란 당시에도 금융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피력해온 카카오뱅크가 시중은행과 차별화에 성공하려면 플랫폼수익 비중이 지금보다 더욱 높아져야 한다.

중금리 대출 활성화 또한 빠르게 해결해야 할 숙제 중 하나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는 중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 확대를 통해 ‘금리단층’을 해소하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5월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이 금융편의성 제고에는 기여했지만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공급은 미흡해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며, 2023년 말까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30% 이상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실제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4~10등급) 대출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각각 14.9%(가계대출), 10.2%(신용대출)이다. 일반 은행(24.2%)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같은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20.4%, 21.4%)와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카카오뱅크도 지난 6월 중신용대출 최저 금리를 연 4.45%에서 2.98%로 낮추고 한도 또한 7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리며 중저신용 대출 확대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고신용 대출에 집중한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올해 목표인 중저신용 대출 비중 20.8%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경제개혁연대, “카뱅, 위상에 걸맞은 금융감독 필요”

덩치가 커질수록 규제의 부담 또한 늘어난다는 것 또한 카카오뱅크의 숙제 중 하나다. 실제 카카오뱅크가 은행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다른 금융기관과 동일한 수준의 관리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경제개혁연대는 17일 논평을 내고 “카카오뱅크는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SIFI)이 되어가고 있지만,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금융복합기업집단법을 적용받지 않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카카오뱅크의 위상에 걸맞은 금융감독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법에 따르면 ▲여수신업·금융투자업·보험업 중 2개 이상의 금융업을 영위 ▲국내 금융회사의 자산합계 5조원 이상인 금융회사는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지정돼 당국으로부터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건전성 관리 등 통합관리를 받아야 한다. 다만 ▲국내 비주력 금융업종 자산합계가 5조원 미만이거나 ▲해외에서 금융복합기업집단법에 준하는 감독을 받는 경우는 예외다. 

카카오뱅크는 여수신업과 금융투자업을 영위하고 총 자산도 2분기 말 기준 29조9013억원으로 5조원을 넘지만, 비주력 금융업종인 금융투자업 자산이 5000억원에 불과해 금융복합기업집단으로 지정돼지 않았다. 

경제개혁연대는 “이번 상장 과정에서 대규모의 자본금 확충을 한 카카오뱅크는 향후 부채 규모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데, 이는 어떤 위험에 의해 회사가 부실해졌을 때 그만큼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며 “갑자기 규모가 커진 카카오뱅크는 금융업에 진출한지 얼마 되지 않아 위험관리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지만, 졸속으로 입법된 인터넷전문은행법만으로 과연 제대로 된 감독이 가능할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