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위)과 삼성증권이 최근 온라인 공모주 청약에 대해 2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사진=각사 홈페이지 갈무리
미래에셋증권(위)과 삼성증권이 최근 온라인 공모주 청약에 대해 2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사진=각사 홈페이지 갈무리

공모주 열풍이 불면서 증권사들이 그동안 무료였던 온라인 청약 서비스를 유료화하고 있다. 늘어난 청약 업무 부담으로 청약수수료 도입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지난 17일 미래에셋증권은 일반투자자에게 온라인 청약수수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실버’ 등급 미만인 미래에셋 고객은 내달 5일부터 온라인으로 공모주 청약 시 2000원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당장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인 크래프톤(내달 14~15일 일반청약 예정)부터 변경된 수수료 방침이 적용될 예정이다.

삼성증권 또한 이달 28일부터 온라인 공모주 청약을 유료화했다. 청약수수료는 미래에셋과 마찬가지로 2000원이 부과된다. 이로써 SK증권, 한국투자증권에 이어 총 4개 증권사가 온라인 청약서비스를 유료화하게 됐다. 

증권사들은 공모주 열풍으로 늘어난 업무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약수수료 부과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증권사 직원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공모주 때문에 지점마다 고객이 터져나갈 정도”라며 “청약일 서버 사용률도 급격하게 올라간다. (온라인 청약) 시스템을 이용했다면 수수료를 내는게 당연하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실제 SK바이오사이언스, 카카오게임즈, 빅히트 등 관심을 모았던 기업들이 IPO에서 연달아 ‘대박’을 내면서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확산됐다. 게다가 공모주 균등배분제까지 도입되면서, 대형 공모주 이벤트만을 노리는 신규 계좌 개설 및 청약을 위해 지점을 방문하거나 MTS에 접속하는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났다. 실제 증권사들은 청약일마다 지점 창구에 고객이 몰려들거나 서버 장애가 발생해 곤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청약서비스를 유료화하는 증권사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공모 관련 업무에 소요되는 부담에 대비하고 현장 직원들의 고충을 덜기 위해서는 청약수수료 수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면 증권사들이 청약일마다 반복된 전산장애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뒤로 미룬 채 청약수수료 도입에 나서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국내에서 영업 중인 증권사 58곳의 전산운용비는 1681억원으로 전분기(1568억원) 대비 7.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증권사 58곳의 당기순이익은 1조3998억원에서 3조1721억원으로 2.3배나 늘어났다. 1분기 기준 순이익 대비 전산운용비 비중은 5.3%에 불과하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동학개미운동으로 수익은 크게 증가했지만, 정작 서비스 개선을 위한 투자에는 인색했던 셈이다. 빈번한 서버장애로 곤란을 겪었던 투자자 입장에서는 과중한 업무부담 때문에 청약수수료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궁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청약일마다 고객 쏠림 현상의 원인이 됐던 중복청약이 지난 20일부터 금지되면서 업무부담이 줄어들게 됐다는 점도 청약수수료 도입의 정당성에 의문을 품게 하는 이유 중 하나다. 물론 중복청약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추가돼 업무부담이 늘어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실제 확인 작업은 한국증권금융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이 또한 설득력이 떨어진다.

결국 증권사들이 투자자에게 청약수수료 도입의 정당성을 설득하려면 하반기 진행되는 IPO를 앞두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는 수밖에 없다. 한 투자자는 주식 관련 커뮤니티에 “청약할 때마다 증권사 전산시스템이 답이 없다는 걸 느낀다”며 “그냥 2천원 더 낼테니 제발 시스템 좀 손보자”고 꼬집기도 했다.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등 굵직한 공모주 이벤트를 앞둔 증권업계가 중복청약으로 인해 몸살을 겪었던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에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