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2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비혼 독신, 동거, 무자녀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8일 여성가족부는 전국 1만997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가족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건강가정기본법에 따라 가족의 삶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국가 승인 통계로, 직전 조사는 2015년에 실시되었다.

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2인 이하 가구가 전체 가구 중 62.1%를 차지했고, 특히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중 30.4%를 차지해 21.3%를 기록했던 2015년도에 비해 9.1%포인트 증가했다. 10년 전 15.8%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무려 두 배 정도 증가한 수치다. 

사진=
사진=다양한 가족 유형에 대한 수용도, 여성가족부

아울러 1인가구의 증가와 같은 변화들과 함께 다양한 가족 유형에 대한 수용도도 2015년도에 비해 높아졌다. 특히 20대의 절반 정도가 비혼 독신(53%), 비혼 동거(46.6%), 무자녀(52.5%)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으로 가족 형태와 생애주기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사진=1인가구 성별, 연령대별 비율,여성가족부

1인가구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 1인 가구(53%)가 남성 1인 가구(47%)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20, 30, 40대가 각각 13.6%, 13%, 11.3%를 차지했고, 70세 이상(26.7%), 60대(19%), 50대(15.4%)로 50대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1인 가구의 과반(61.1%)를 차지했다. 혼자 생활하는 주된 이유로 20~40대는 “학업, 취업”을 60~70세 이상의 경우 “배우자의 사망”을 사유로 꼽았다. 

사진=1인가구 월 소득 구간별 비율, 여성가족부
사진=1인가구 월 소득 구간별 비율, 여성가족부

소득이 비교적 낮은 것 역시 1인 가구의 특징이었다. 1인가구의 소득 구간별 비율을 살펴본 결과 100만원 미만이 전체의 33.1%를 차지했고, 100만원대가 25%, 200만원대가 18.8%를 기록했다. 1인 가구 중 과반수가 한 달에 200만원 미만의 금액으로 생계를 이어나가고 있는 셈이다.

1인 가구는 지출항목으로 주거비(35.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식비(30.7%), 의료비(22.7%)가 그 뒤를 이었다. 이런 탓인지 1인가구에게 필요한 정책으로 주택안정지원책이 가장 높은 순위(50.1%)로 꼽혔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주거 안정의 요구가 80%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가사서비스의 경우 전체의 7%만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60대(9.3%)와 70대(13.4%)의 요구도가 높아서 1인가구 지원 정책을 추진할 시에 생애주기별 설계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개인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이라면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 형태와 생애주기에 맞는 가족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확대하고, 다양한 가족을 포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사회적 공감대 확산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