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3.73포인트(0.12%) 내린 3148.45에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3.73포인트(0.12%) 내린 3148.45에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 기류를 타면서 그동안 호조를 보였던 글로벌 증시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상승장을 이끌어왔던 가장 큰 동력은 저금리로 인한 풍부한 유동성 공급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국채 10년물 금리(수익률)는 1.145%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 4일 0.917%에서 일주일 만에 22.8bp가 오른 것으로, 지난해 6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미 국채 금리는 세계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지표다. 모기지나 채권 등 시중금리가 대부분 미 국채 금리에 연동돼있기 때문. 미 국채 금리의 상승은 세계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지표로도 읽히는데, 실제 최근 상승세는 ‘블루웨이브’ 등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상승세가 예상보다 빨라 자칫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 투자전문매체 배런스는 10일 최근 미 국채 금리 상승의 배경에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이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증시가 아직 금리 상승에 준비된 상태가 아니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점진적인 금리 상승은 경기 회복의 신호지만, 갑작스러운 인상은 향후 기업의 미래 이익가치를 줄여 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최근의 국채 금리 상승세가 연준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경우, 그동안 상승장을 이끌었던 양적완화가 점차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CNBC에 따르면 라파엘 보스틱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1일 “경제가 예상보다 강하게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럴 경우 완화정책(accommodation)의 후퇴 및 조정, 정책 금리 변경을 지지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만약 미국이 예상보다 빨리 양적완화를 축소하기 시작된다면, 현재 증시를 떠받치고 있는 유동성 공급도 함께 축소될 수 있다. 전문가들의 지적대로 증시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른다면, 현재의 ‘거품’이 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이 때문에 투자자들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입장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 지난달 15~16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살펴보면, 소수의 위원이 테이퍼링(점진적인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연준이 우려한 대로 이른 긴축정책을 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평균 물가 목표제도를 도입하며 단기 물가 모멘텀을 근거로 긴축에 나서지는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며 “중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장기목표치에 수렴한다면 연준의 합리적 대응은 현재의 완화적 스탠스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연구원은 이어 “추가 완화정책이 없고 명목금리 상승을 용인하는 것과 긴축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결국 일각에서 우려하는 조기 테이퍼링 우려는 기우”라고 강조했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또한 “미국 금리가 갑자기 급등하기 시작했지만 아직은 시장에 큰 부담을 줄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며 “이번 미국 금리의 상승이 인플레 우려보다 경기 호조를 반영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이어 “이번 금리 상승은 ISM 제조업 지수가 급등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라며 “이는 이번 상승이 연준의 신경을 건드리는 상승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는 14일 연설에 나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파월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로 입장을 선회할지, 투자자들의 바램대로 기존의 완화정책을 계속 유지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