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1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59%가 ‘상승’할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29%는 ‘하락’, 12%는 ‘보합’을 예상했다. 연령별로 20~30대에서 ‘상승’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60%대로 다른 연령대(5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방은 지난해 12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1년 주택시장에 대한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총3230명이 응답했다. 

지역별로는 큰 차이는 아니지만 서울, 경기에서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미미한 차이로 높았다. 서울은 59.5% ‘상승’, 27.6% ‘하락’, 12.9%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는 ‘상승’ 59.4%, ‘하락’ 28.2%, ‘보합’ 12.4% 응답됐다.

다른 지역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인천은 57.7% ‘상승’, 31.9%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광역시와 지방은 각각 57.7%, 58.6% ‘상승’, 31.4%, 30% ‘하락’을 예상했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응답자가 2021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의견이 더 많았다. 유주택자는 64.6%로 무주택자(52.8%)의 ‘상승’ 응답비율보다 10%p이상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은 무주택자가 36.1%로 유주택자(22.5%)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2021년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상승 응답자 1,904명 중, 36.5%가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신규 공급물량 부족(18.6%)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13.5%) △선도지역, 단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동반상승(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승 이유는 모든 지역에서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이 가장 많이 선택됐으나 2순위 이하 응답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서울은 △신규 공급물량 부족(25%)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11.6%) 응답이 뒤를 이었다. 경기도 서울과 유사하게 △신규 공급물량 부족(19.6%), △개발호재(11.5%)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11.2%) 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개발호재(15.2%), △신규 공급물량 부족(11.4%) △선도지역, 단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동반 상승(11.4%)이 뒤를 이었다. 

지방광역시는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16.2%)이 2순위 응답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선도지역, 단지 가격상승으로 인한 동반상승(13.2%)이 상승 전망 이유로 응답됐다. 지방도 2순위 응답이 광역시와 동일하게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20.9%)이 차지했고 이어 △신규 공급물량 부족(12.3%)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에서는 공급물량 부족 이유가 2순위를 차지한 반면, 지방광역시(인천 제외)와 지방은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 이유가 2순위로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반면, 2021년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고 생각돼서’가 25.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23.5%) △다주택자 매도 매물 증가(22.4%) △보유세, 양도세 등 세제 강화(1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주택 전세가격은 전체 응답자 중 65.5%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8.5%는 ‘하락’, 16%는 ‘보합’을 선택했다. 연령별로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30대에서 ‘상승’을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전세가격 상승 이유로는 △전세공급(매물) 부족’(54.9%), △매매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세가격 상승(29%) 이유를 꼽았다. 

주택 전세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의 이유는 ‘전세 물량 증가’가 29.3%로 가장 많이 응답됐다. 이어 △매매전환 증가로 전세수요 감소(24.9%) △공공임대주택 확대 등 정책적 효과(22.6%) △월세전환 증가로 전세수요 감소(15.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2021년에는 시장 안정화 및 투자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양도세 및 종부세가 강화되고,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 부활하는 등의 다양한 추가 공급대책이 나올 예정이므로 이런 변화가 주택가격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