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가 추진하는 기계학습 데이터댐 구축 사업 로드맵 /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모집 중인 디지털 뉴딜 근로자 처우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침체된 경기를 회복하기 위해 일자리를 10,000개 창출하겠다고 밝혔지만, 단순노동인 데다 단기간 근로에 그쳐 참여자에게는 ‘물경력’이 될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기반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축적해 온 자료에 부가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KISTI의 논문, 연구 결과 등 자료를 기계학습 데이터댐으로 구축, 민간에 무료로 개방해 AI 시장의 파이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과기부의 데이터댐 구축 사업은 2,000명 규모로 진행된다. 앞서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 개선 업무를 위해 모집하고 있는 청년 인턴 8,000명까지 더하면 총 10,000명 수준이다.

다만 일각에선 이런 데이터댐 노동은 정규직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물경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당초 정부가 단기 근로자로 채용하는 까닭도 일단 데이터댐을 구축하고 나면, 기존 유지보수 담당자 외에는 10,000명이나 되는 대규모 인력이 필요치 않아서다.

관련 기사의 네티즌 댓글에서는 “IT업계에서도 계약직으로 뽑는 직무라 물경력으로 보면 된다” “미국에서 아마존이 저소득층에게 최저임금 주면서 AI용 데이터에 태그를 다는 것과 같다” “전문성이 필요 없는 단순한 업무 아르바이트” 등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하다.

장기적으로 보면 이들이 만든 데이터댐을 사업 아이템으로 삼는 창업자가 늘어 IT업계 고용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데이터댐 구축에 기여한 청년들이 고용시장 활성화 수혜를 받을지는 의문이다. 데이터댐을 활용하는 업무는 구축하는 업무와 달리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에 참여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보호하는 정부의 후속 조치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