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 네이버 검색에서 '대환대출 계약위반'을 검색해서 나오는 지식인 문의글이다. 사진=네이버 검색 캡쳐.
포털사이트 '대환대출 계약위반'문의글. 사진=네이버 화면 캡쳐.

최근 저금리 대환대출을 받으려는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신종 보이스피싱 대출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피해자들은 기존에 고금리 대출을 가지고 있었고 흩어져 있는 고금리 대출을 통합할 수 있는 햇살론 등 정부지원 저금리 대출을 알아보던 중 대출 사기를 당한 사례가 많았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보이스피싱 주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존에 알려진 보이스피싱은 3가지 접근방식을 취한다. 정부지원대출을 받기 위해 기존대출 상환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법, 신용등급 향상을 위한 대출작업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법, 코로나 감염 우려로 비대면 대출을 위해 앱 설치를 요구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다른 양상의 대출사기 보이스피싱이 등장했다. 저금리 대환대출을 알아보는 사람들에게 접근해 ‘금융법 위반으로 금융감독원에 신고 접수 및 계약 위반 위자료 청구’를 진행하겠다는 방법이다. 
 

◇ 대환대출·기존대출 계약위반 “금감원 신고" 협박
“대출에 대해 잘 모르는 사회 초년생이다 보니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이 없었어요.”
“대출을 급히 알아보다 보니 전화,문자로 오는 비대면 대출권유에 의심이 없었습니다.”
“대출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이중 대출이 금융법 위반이라고 신고하겠다는 말에 범법자가 될까 봐 지레 겁을 먹었죠.”

기존대출을 대환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금융감독원에 신고하겠다고 협박을 받아 대출사기를 당한 피해자들의 진술이다.

이들 중 20대 여성 피해자 A씨는 영등포경찰서에 자신이 직덥 겪은 피해 사례를 신고했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평소 익숙한 제3금융권의 대출광고 문자를 보고 먼저 대출 문의를 했다. 이후 해당 업체의 담당자라고 전화가 와서 계약서 작성을 명목으로 확인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신청서를 작성, 제출했다"고 진술했다.

이후 대출 심사 승인이 나왔다고 연락온 뒤 대출업체 채권추심팀에서 연락이 왔다. 계약서 약관에 정부지원대출 신청을 1년간 금지한다는 항목이 있었다면서 금융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것. 이어 "위자료 청구 및 금융법 위반으로 고소할 것"이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A씨는 겁을 먹고 확인하지 않은 채 원금 납부를 결정했다.

돈을 주고받는 과정에서도 기대출 납부확인서 위조, 대면 납부로 현금을 챙기는 등 치밀하게 접근했다. A씨는 현금 납부한 뒤 기존 대출업체의 어플에 들어가 납부 금액을 확인해보니 갚아야 하는 금액이 여전히 남아있어 그때 사기인 것을 알게 됐다고. 

이에 금감원 불법금융대응단 관계자는 “3~4년 전부터 대환대출과 관련해 계약 위반으로 검찰에 고발하겠다는 내용의 피싱사기가 가장 많다”고 답했다. 대출빙자형 피싱사기 중에서도 대환대출형이 상당수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실제 피싱 문자 내용. 제공=금융감독원.
실제 피싱 문자 내용. 제공=금융감독원.

◇ 범인 검거율 낮아 예방이 최선
피해자 A씨가 조사 과정에서 대출사기범을 붙잡을 수 있냐고 묻자 돌아온 답은 “검거가 매우 어렵다”는 말이었다. 보이스피싱 발신자들은 중국에서 번호를 우회해 전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등포경찰서 형사과 관계자는 “최근엔 대포통장도 이용하지 않고 현금으로 받는 추세다 보니 현금을 받으러 나온 일수꾼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막상 검거하고 나면 당사자는 대출사기에 연루되는 것인지 모른 채 고수익 알바로 고용된 경우가 대다수”라고 설명했다. 

결국 피해자는 보이스피싱 신고를 해도 범인을 붙잡기도 어렵고 피해금 변제도 어렵다. 그렇지만 신고 사례가 쌓이면 데이터화돼 수사망을 좁히는데는 도움이 된다.

이런 금융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하는 수밖에 없다. 금융사를 사칭해서 신뢰할 수 없는 아이피 주소 입력, 대출유도 사이트 접속, 어플설치, 휴대폰 악성코드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고금리 사용 건 전액 또는 일부 상환하면 저금리 대출로 대환해준다는 것도 피싱에 해당하며 어떤 명목으로든 선입금을 요구하면 피싱을 의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