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쇼크로 휘청이는 가운데, 중국 경제의 회복 시점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이 다시 정상 가동되지 않는 한 코로나19가 촉발한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렵기 때문.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의 경우 중국 경제 회복 속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중국 내 공장 재가동, 쇼핑가 교통량↑

중국은 코로나19 사태가 가장 먼저 시작된 만큼, 다른 국가보다 빠르게 종식 단계로 진입하면서 조심스레 일상을 회복하는 분위기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19일, 코로나19 발원지인 우한시가 속한 후베이성에서 전날 하루 동안 신규 확진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후베이성에서 신규 확진자가 ‘0명’을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중국 전체 신규 확진자는 34명으로 집계됐으나, 위건위는 이들이 모두 해외에서 역유입된 환자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지면서, 경제도 다시 정상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1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개발개혁위원회 멍웨이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후베이성을 제외한 전 지역의 공장 가동률이 90% 이상 회복됐다고 밝혔다. 특히, 저장성과 장쑤성, 상하이시, 산둥성, 광시성, 충칭시 등 핵심 공업지역 내 공장 가동률은 거의 100%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사용량 또한 비철금속 산업의 경우 전년 수준을 회복했고, 제약·화학·전자 등은 평소의 90%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얼어붙었던 소비심리도 조금씩 풀리고 있다. 18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알리바바그룹의 내비게이션 앱(App) ‘오토내비’(AutoNavi)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도심 내 쇼핑가의 교통량이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베이징·상하이 등 주요 대도시 쇼핑가 주변의 이달 14~15일 교통량을 지난달 15~16일 교통량과 비교한 결과 약 30% 늘어났다는 것. 

◇ 코로나19 극복 위해 정부지출 대폭 확대

지난달까지만 해도 역대 최악의 경제지표를 보였던 중국이 회복세에 들어선 것 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든 데다, 중국 정부가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시행하며 빠른 대응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 효과가 제한적인 통화정책보다 적극적으로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식의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NH투자증권 안기태 연구원은 19일 “통화정책이 은행시스템 안정에는 기여했지만, 실물 회복을 도우려면 재정정책까지 필요하다... 이 때 필요한 정책은 가계와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현금지원”이라며 “이 관점에서 보자면, 가장 대응을 잘 하는 것이 중국”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이 지출했거나 지출 예정인 재정 규모는 약 1조2125억원(한화 약 221조원)에 달한다. 중국의 경기부양 패키지에는 기업의 사회보험료 및 의료보험료 감면·면제(6500억 위안), 코로나19 피해 기업 및 개인사업자에 대한 세금 및 수수료 감면·면제(3500억 위안) 등이 포함돼 있다. 중국 내 지방정부에서는 확진 판정 시 현급을 지급하는 방안을 시행 중이다. 실제 중국 후베이성 첸장시는 지난달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 1만 위안을 지급하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안 연구원은 “올해 들어 중국이 편성한 재정지출 확대 내역을 보면, 직접적으로 기업들의 비용을 깎아주는 것들이 많다. 여기에 지방정부들이 현금성 쿠폰을 지급한다는 계획도 나오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처음 확인된 것도 중국이지만, 경기부양 대책을 가장 효율적으로 편성한 것도 중국이다. 올해 2분기에는 중국이 역성장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中, 경기부양 노력 아직 부족", 섣부른 낙관은 금물

한편, 중국 경제의 회복을 기대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의 투명성이 부족해, 현재 발표되고 있는 코로나19 관련 지표 및 경제지표를 있는 그대로 신뢰할 수 없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의 재정정책이 아직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루이스 쿠이지스 옥스포드 이코노믹스 아시아부문장은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경기부양 노력은 2009년에 비해 소극적”이라며 “중앙정부의 정책입안자들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T로프라이스그룹 국제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니콜라지 슈미트 또한 “현재 중국 지도부는 2008~2009년보다도 더 재정 안정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느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글로벌 경제분석회사인 IHS마킷의 나리먼 베라베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6일 중앙일보를 통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태 당시 전염은 홍콩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했지만, 코로나19 사태는 세계 공장 중국에 이에 한국을 거쳐 유럽과 미국으로 번지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경제 회복에 3년이 걸린 9·11 사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