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통해 국내 마스크 일일 생산량의 80%를 공적 물량으로 가져가겠다고 하자 일부 마스크 제조사들이 생산을 줄이거나 공장 문을 닫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정부는 업체들과 최대한 협력하겠다며 수습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6일 “현재 마스크 생산업체들과 공적물량 확보를 위한 계약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6일 낮 12시 기준으로 국내 마스크 생산업체 131곳 중 125개사와 계약 체결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마스크의 종류와 가격의 다양성, 기존 계약의 인수 여부 등이 모두 다른 개별적인 계약 협상이었지만 단기간에 높은 성공률을 나타냈다. 마스크 품질 등 제반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계약 체결이 어려운 일부 업체와 관련해서는 계약 협상을 가속해 최대한 계약을 완료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생산 단가를 정부가 요구한 공급가에 맞추기 어려워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마스크 제조업체에 대해서도 "해당 업체와 잘 협의해서 업체가 적정한 가격으로 손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원만하게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치과용 의료 마스크 제조업체인 이덴트는 5일 홈페이지를 통해 “정부가 마스크 제조업체에 생산량 80%를 일괄 매입하기로 결정했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그동안 자부심을 갖고 생산해왔던 이덴트 마스크 생산이 중단됨을 알려드린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단가가 싼 중국산 원단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생산 단가를 중국산과 비교할 수 없는데도 조달청에서는 생산원가 50% 정도만 인정해주겠다는 통보를 해왔고 일일 생산량의 10배에 달하는 계약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덴트는 또 "코로나19 발생 후 하루 생산량 200통(1만장)에서 240통(1만4400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인원을 1명 더 충원했고 매일 2시간 연장근로와 토요일, 일요일 연장근무로 인한 각종 수당지급 등이 있었지만 마스크 값을 1원도 올리지 않았다. 부르는 대로 돈을 주겠다는 중국에도 1장도 안 팔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마스크 제조업체에 일관된 지침을 적용해 마스크가 꼭 필요한 의료기관에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것조차 불법이라는 지침을 내려 앞으로 공급이 불가하게 됐다. 이런 결정 내리게 된 걸 진심으로 죄송하고 다시 한번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입장을 밝혔다. 

마스크 업체의 이 주장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정부가 의료용 마스크 제조업체와 일반 보건용 마스크 제조업체의 생산 단가에 대한 이해 없이 일괄적으로 지침을 적용한 것은 마스크 수급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