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되는 가운데 25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입고된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되는 가운데 25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입고된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국내 마스크 수급 안정화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수출량이 폭증하고 있어, 정부가 제한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5일 <이코리아>가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살펴본 결과, 지난달 마스크 수출액은 전년 동월에 비해 대략 9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 등은 통관 시 ‘기타 방직용 섬유제품’(HS코드 6307.90.9000)으로 분류된다. 지난달 해당 품목 수출액은 7261만1000달러로 전년 동월(829만6000달러) 대비 775.3%, 전월(643만8000달러) 대비 1027.9% 증가했다. 

중량으로 보면 지난달 수출량은 174만8800㎏으로 전년 동월(44만3500㎏) 대비 294.3%, 전월(33만9600㎏) 대비 415% 증가했다.

해당 품목은 월별 수출입 변동이 크지 않다. 따라서 지난달 갑자기 수출액이 9배 가까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중 마스크 수출량이 급증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지난달 ‘기타 방직용 섬유제품’의 수출액은 지난해 수출액(8091만 달러)의 89.7%에 해당한다. 약 한 달 만에 지난해 총 수출액을 거의 달성한 셈이다.

수출액이 수출중량보다 큰 증가폭을 보이는 것은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 또한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렇다면 수출된 마스크는 어디로 갔을까?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폭증한 마스크 수출물량은 대부분 중국이 흡수했다. 지난달 ‘기타 방직용 섬유제품’의 대중 수출액은 6135만3000달러, 수출중량은 133만1494㎏으로 지난달 수출의 약 80%에 해당한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428%, 3614.8% 증가한 것으로, 해당 품목의 지난해 총 수출량(714만5000달러, 37만8835kg)과 비교해도 금액은 8배, 중량은 3배가 넘는다. 

2019년 1월~2020년 1월 기타 방직용 섬유제품(마스크 포함) 중국 수출액. 자료=관세청
2019년 1월~2020년 1월 '기타 방직용 섬유제품(마스크 포함)' 중국 수출액 추이.(단위: 천 달러) 자료=관세청

해당 품목의 대중 무역수지를 보면 지난해 약 1억58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달 해당 품목의 대중 무역수지는 약 4600만 달러로 지난해 적자의 3분의 1을 한 달 만에 회복한 셈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악화되면서 국내 마스크 제조업체들도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다수의 마스크가 중국으로 계속 수출된다면 국내 마스크 수급 안정화는 요원한 일이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출고된 마스크는 총 4475만개로 이중 11.8%인 527만개가 수출됐다. 특히 지난 14일에는 일일 출고량의 15.2%인 236만개가 수출되기도 했다.

문제는 실제 마스크 수출량은 식약처 통계보다 많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건용 마스크의 경우 300개 이하는 해외 반출이 가능하며 1000개가 넘어야 정식 수출 신고가 의무화된다.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 중국 여행객이나 보따리상이 반출한 마스크 수량을 더하면, 실제 해외로 빠져나간 마스크 개수는 식약처 통계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마스크 수출을 제한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마스크 생산량의 대부분이 중국에 수출되는 데다 대기업·관공서로 흡수되는 물량까지 고려하면 일반 소비자들이 소매업체를 통해 마스크를 구매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

당정 또한 마스크 수출규제 조치를 검토 중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25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마스크 수출물량을 생산량의 10%로 제한하는 한편, 마스크 생산량의 50%를 상업유통망이 아닌 정부가 통제해 공급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