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코리아】환경부가 4대강 사업으로 극심한 가뭄에도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났다고 발표하자 환경단체가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23일 환경부에 따르면 4대강의 올해 상반기 수질을 사업 이전(2007~2009년)과 비교하면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평균값이 2.6㎎/L에서 2.1㎎/L로 개선됐다.

수계별로는 한강이 2.2㎎/L에서 1.8㎎/L, 낙동강이 2.0㎎/L에서 1.8㎎/L, 금강이 2.7㎎/L에서 2.4㎎/L, 영산강은 5.0㎎/L에서 3.6㎎/L 등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66개 중권역 별로 분석해 보면 개선 45개(68%), 악화 16개(24%) 등이고 나머지 5개는 전년과 같았다.

총인(T-P)의 경우 전체 평균값이 0.149㎎/L에서 0.083㎎/L로 44%나 저감됐고 클로로필-a(Chl-a)도 올해 평균값이 22.0㎎/㎥로 사업 전 22.9㎎/㎥에 비해 약간 감소했다.

16개 보의 수질도 BOD 평균값이 3.2㎎/L에서 2.8㎎/L로 13% 감소했고 총인(TP)은 0.201㎎/L에서 0.114㎎/L로 43%, 클로로필-a는 38.1㎎/㎥에서 33.1㎎/㎥로 13% 등이나 개선됐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이에 대해 4대강 복원 범국민대책위원회는 "환경부는 스스로 BOD 중심의 수질체계로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는데 이번에도 BOD 개선효과만 알리고 있다"며 "BOD와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동시에 확인해야 수질상태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무 등 화학물질 분해가 가능한 유기물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인 COD는 2000년 이후 전 지역에서 악화 추세다.

환경부 관계자는 "COD를 증가시키는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자연상태에서 점점 많이 발생하고 도로 포장률이 높아 COD가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평가 지표로서 의미가 없어 수질개선 항목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4대강 복원 범대위는 정부가 COD 악화를 일부러 무시한 채 단기적인 BOD 개선만을 근거로 4대강의 수질악화를 감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환경단체는 환경부 조사가 이뤄진 4대강 중권역은 상대적으로 수질이 좋은 지역으로 수질오염에 따른 녹조현상은 주로 강변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4대강 복원 범대위는 "환경부의 이번 발표는 최근 4대강에서 ‘녹차라떼’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극심한 녹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회피하려는 것에 불과하다"며 "환경부가 어느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했는지도 정확히 밝히지 않아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단기 자료를 통한 수질 개선은 거짓 논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부의 이번 수질개선 발표는 2007년~2009년 평균과 올 6개월간 평균을 비교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진행됐다.

수질개선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장단기 경향성에 대한 분석과 그동안 취해진 정책의 성과, 총인 처리시설 등 확충에 따른 효과 등 종합적 분석이 필요하다는게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김좌관 부산 가톨릭대 교수는 "단기적 자료를 이용할 경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 주장과 달리 4대강 지점별로 수질이 나빠진 사례를 지목했다.

김 교수는 "낙동강은 BOD, COD, 클로로필 등 모두 증가 추세이며 한강은 유기물 증가 추세"라며 "10년 전에 비해 하폐수처리 시설 증설, 고도화 등 환경기초시설이 크게 증가했는데도 수질이 개선되지 않은 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4대강 복원 범대위에 따르면 낙동강 본포 취수장 상·하류 지역에서 분석한 총질소(TN)의 평균은 8.51㎎/L로 총인 부영양화 기준 0.6~1.5㎎/L(Forsberg & Ryding, 1980)의 최대 14배가 넘는 수치를 보였다.

총인(TP)의 평균 0.56㎎/L도 부영양화 기준 0.025~0.1㎎/L (Forsberg & Ryding, 1980)의 최대 22배에 이른다.

부영양화 상태가 되면 조류가 성장해 수 표면에서는 산소 과포화 현상이 발생하고 강바닥에서는 산소 결핍 현상이 일어난다.

김 교수는 "부영양화에 따라 수처리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하천유량을 증대시켜 수질을 개선한다고 하지만 이미 긴 체류시간 탓으로 조류번무가 생긴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고 해서 수질개선이 이뤄질 수도 없다"고 반박했다. 뉴스1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