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 10명 중 7명 이상이 가짜뉴스에 속았던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입소스가 국제거버넌스 혁신센터(CIGI) 의뢰로 지난해 12월21일부터 올해 2월10일까지 25개국 2만5229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약 86%였다. 이중 가짜뉴스를 사실이라고 믿었던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86%에 달했다. 단순 계산으로도 약 73%의 인터넷 사용자가 한 번 이상 가짜뉴스에 속았다는 것.

가짜뉴스를 접하게 되는 경로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SNS(소셜미디어)를 꼽았다. 페이스북을 통해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67%로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가량이었으며, 그 외의 소셜미디어플랫폼이 65%, 웹사이트 60%, 유튜브 56%, TV 51%, 주류언론 45%, 블로그 41%, 트위터 40%의 순이었다.

소셜미디어(82%)는 가짜뉴스 확산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매체로도 지목받았다. 그 다음은 온라인 트롤(인터넷 상에서 악성 댓글이나 혐오 발언을 하는 사용자) 81%, 유튜브 등 영상공유사이트 75% 등의 순이었다. 반면 특정 플랫폼이나 악성 인터넷사용자가 아니라 평범한 SNS 사용자(75%)나 인터넷 사용자(72%)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상당히 높았다.

가짜뉴스에 대한 대책으로도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셜미디어나 영상공유사이트에 올라온 가짜뉴스를 삭제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각각 85%였으며, 가짜뉴스와 연결된 소셜미디어 계정을 삭제해야 한다는 응답자도 84%에 달했다. 가짜뉴스를 가려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 또한 전체의 87%로 가장 높았다.

반면 정부의 검열을 대책을 꼽은 응답자는 61%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정부 검열에 높은 지지를 보낸 국가는 나이지리아(88%), 파키스탄(85%), 인도네시아(85%), 케냐(83%) 등이었으며, 한국은 60%로 평균에 수렴했다. 반면 미국(42%), 독일(46%), 캐나다(46%) 등은 정부 검열을 통한 가짜뉴스 대응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가짜뉴스의 판별 주체가 누구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정부가 가짜뉴스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겨우 17%에 불과했으며, 인터넷사용자 개개인에게 판단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16%였다. 소셜미디어플랫폼(12%)이나 검색엔진(9%), 영상공유사이트 운영업체(4%) 등 플랫폼 사업자를 지목한 경우도 많지 않았다.

가짜뉴스의 악영향에 책임이 있는 국가로는 미국이 가장 많은 응답자(35%)로부터 지목을 받았으며 러시아(12%)와 중국(9%)이 뒤를 이었다. 한국을 지목한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에 불과했다.

반면 한국 응답자들의 39%는 우리나라가 스스로 가짜뉴스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으며, 해외에서는 중국(19%), 미국(18%), 일본(16%)을 꼽았다. 일본의 경우 자국을 지목한 응답자는 14%에 불과한 반면, 중국(38%) 미국(22%), 한국(19%)에 가짜뉴스의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