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웹 접근성 조사 결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내 웹사이트 4곳 중 3곳은 접근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민간분야 ‘2018 웹 접근성 실태조사결과’를 3일 발표했다.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 노인 등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도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2018년 실태조사는 웹 이용 빈도가 높은 8개 표준산업 분야의 웹사이트 1,000개를 선정해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전문가가 평가하였다. 결과는 점수에 따라 우수(95점 이상), 양호(85점 이상), 보통(75점 이상), 미흡(75점 이하) 등 네 단계로 구분했다.

조사 결과, 웹 접근성은 평균 66.6점이며, 75점 이하의 미흡한 수준에 해당하는 웹사이트의 비율이 74.3%로 장애인, 고령자 등을 배려한 접근성 개선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 접근성은 전년대비 5.6점 상승했지만, 아직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네티즌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금융 및 보험업이 평균 77.9점으로 웹 접근성 보장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부동산 및 임대업 분야가 62.1점으로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항목별로는 시각장애인이 웹페이지에서 그림, 이미지 버튼 등의 의미나 용도를 보조기술(문자-음성낭독SW 등)을 사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 텍스트 제공’ 항목의 준수율이 가장 저조(1.99점/10점 만점)했으며, 배경과 문자의 ‘명도 대비 보장’, ‘키보드 사용 보장’, ‘반복 영역 건너뛰기 기능 제공’, ‘초점의 적용 및 이동 보장’ 항목의 준수율도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용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해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라며 “과기정통부는 모두가 함께 누리는 ‘디지털 포용 국가’ 실현을 위해 웹 접근성 개선 컨설팅, 보건 및 사회복지 분야 웹사이트의 접근성 개선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등 정보 접근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