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업계가 환경규제 및 미중 간 무역전쟁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국내 철강업계가 미중 무역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환경규제 여파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게다가 원가 상승과 환율 변동에 따른 원화 약세 등 악재가 이어지고 있어  2분기 실적 역시 녹록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시장 공급 과잉, 중국업체 M&A 변수

2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시장은 ‘공급과잉’ 문제로 장기간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태다. 이는 중국 업체 간 인수·합병에 따른 몸집 불리기 여파로, 지금의 과잉 공급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주 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실제 최근 중국 2위 철강업체 바오산철강과 6위 우한철강이 합치면서 바오우철강그룹이 탄생했으며, 세계 2위 철강업체로 떠오르기도 했다.

이처럼 몸집을 키운 중국 기업들은 이미 공급과잉 상태인 글로벌 시장에 낮은 가격의 철강제품을 대량 공급하고, 이는 다시 제품 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미국의 '신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에 따라 중국 내수 시장조차 침체기를 맞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 상태다. 

결국 철강 공급면에서 세계 1위 국가인 중국 스스로 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하면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전역으로 ‘저가 제품 밀어내기’ 행보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또한 한국 철강업계는 최근 더욱 심각해진 미세먼지 문제의 주범으로 몰리며 정부 당국의 강력한 환경 제재를 강요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제철소가 밀집된 각 지자체 등에서 철강사들에 환경규제의 일환으로 ‘조업정지’ 처분의 사전 절차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충남도와 전남도로부터 고로 정비 과정에서 브리더(Breather)를 통해 무단으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했다는 이유로 조업정리 10일에 대한 사전 통지 조치를 내린 바 있다.

‘브리더’ 논란에 달러화 강세 등 악조건 지속

하지만 문제는 업계 내부에서 이번 당국의 환경규제를 두고 전례 없는 조치라며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기술적 조건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당국 규제를 충족하려면 브리더를 대체하거나 저감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런 기술은 존재하지 않으며, 선례 역시 없다는 것이다.

이번 고로 배출 논란의 핵심인 브리더란 이른바 ‘비상밸브’를 뜻하는 것으로, 환경 당국은 가스배출 통로로 해석하는 반면, 철강사들은 폭발 등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장치라고 항변하고 있다.

조업정지 처분이 최종적으로 내려져 고로가 멈춰 서게 될 경우 제철소 특성상 후속 공정이 올스톱되는 등 업체 입장에선 최악의 사태까지 맞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양사는 최근 지자체에 자신들의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했거나 현재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플라스틱 쓰레기’ 논란 등으로 세계 시장에서 점차 환경규제를 강화해나가고 있다는 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유관업계인 조선·해운업계와 관련해선 오는 2020년 가장 강력한 규제책이 세계 시장에 적용을 앞두고 있다.

게다가 철강재 원료인 철광석 가격 상승에 따른 스프레드(원료와 최종 제품의 가격 차이) 감소, 최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화 약세 등의 요인으로 특히 해외 수출 비중이 큰 국내 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국내 철강 ‘빅2’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영업이익 면에서 전년 동기 대비 19.1%, 27.6%로 각각 줄어들었다.

하지만 또 다른 일각에선 세계시장에서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오산 등 중국 기업들이 일제히 제품가를 인상하면서 우리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주장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이날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중국 기업들이 제품가 인상에 따른 수익으로 올해 2분기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라며 “이는 결국 철강 수요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