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리아] =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주무대가 된 데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라는 소용돌이에 휘말린 문화체육관광부가 산하 6개 국립예술기관과 단체의 수장 선임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화융성을 외쳤던 박근혜 정부가 내부적으로는 문화예술계 편가르기에 급급해 왔고, 문화예술 분야 장차관과 청와대 수석은 물론 주요 예술기관장들을 최순실 인맥으로 선임해 온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블랙리스트 작성에 주된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현 조윤선 문체부 장관이 당면한 인사권을 행사할 경우 적절성 논란도 예상된다.

현재 인선 대상기관은 국립중앙극장(국립극장),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 국립극단, 국립발레단, 국립국악원 소속 무용단과 창작악단이다.

우선 문체부는 7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건립한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의 수장을 2015년 11월 개관 후 1년이 넘도록 뽑지 못한 채 방선규 전당장 직무대리 체계로 운영해 오고 있다.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전당장 공모를 실시했지만 ‘적임자 없음’을 내세우며 지난 11월 다시 3차 공모를 실시했고, 아직도 결정 지어지지 않았다.

이를 두고 문화예술계에서는 "도대체 어떤 인물을 뽑으려고 그러나. 그동안 비선 실세의 입맛에 맞는 사람이 없어서였나"라는 비아냥까지 나오고 있다.

문체부 장관이 임명권을 갖고 있는 예술의전당 사장이나 국립극장 일부 예술단장의 선임에도 외부 실세가 개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2012년 취임한 안호상 국립극장장의 경우 임기가 오는 15일 만료된다. 인사혁신처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최종 후보 3명을 문체부에 통보한 가운데 문화예술계는 투명하고 공정한 결과가 나올지 지켜보고 있는 상태다. 그동안 국립극장은 시사 풍자적인 공연을 둘러싸고 문화예술계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문화예술 유린사태를 두고 문화예술 정책 행정이나 인사 체계의 개혁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낙하산이나 관피아 선임으로 자격시비가 일어나는 관행은 반드시 척결돼야 한다는 요구다. 

문화예술계 한 인사는 “예술기관과 단체 수장 공모는 사전에 내정해 놓고 형식으로 절차를 갖추는 경우가 많다. 그럴 바에야 허울 좋은 공모제도는 폐지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인사는 “어느 분야보다 문화예술이 미래를 선도해야 할 입장인데 전근대적인 적폐를 보여준 문체부는 대오각성해 시스템을 정비하지 않으면 신뢰를 회복하기 힘들 것”이라고 전했다.

최순실과 연계된 일부 문화 권력의 농간으로 된서리를 맞은 문체부가 어떤 환골탈태의 혁신방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