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의원실)

[이코리아] = 핀테크 열풍이 불면서 정부기관들이 너도나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 가운데 10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실제 이용자수가 많지 않고 앱이 제공하는 정보도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돼 혈세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황영철 의원(새누리당)은 행정자치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앱 운용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와 함께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전체 앱을 전수조사해 구축 및 운용비용, 실제 이용자수를 최초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행자부로부터 제출받은 1402건 중 ▲폐지·대상 160건 ▲기재오류 7건을 제외한 1235건을 대상으로 했으며, 여기에는 행정자치부가 지난 3월 폐지·정비했다고 발표한 642건은 제외했다.

구축 및 운용비용은 1001억9500만원이 들었으며, 총 1억1498만570건을 다운받았다가 삭제하고 실제 이용하는 유지비율은 32%에 불과했다. 

유지비율은 ▲지자체가 만든 공공앱의 유지율이 23.7%로 가장 낮았고 ▲중앙정부 30.6% ▲공공기관 34.8% 순으로 나타났다.

무료제작건을 제외한 건당 평균 구축과 운용비용은 1억1700만원에 달했다. 실제 구축 및 운용비용을 구간별로 보면 ▲10억원 이상이 15건 ▲10억~5억원 19건 ▲5억~1억원 170건, 1억원 미만 648건이었다.

황영철 의원은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공공앱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국민에게 외면 받고 있다"며 "대국민 서비스를 지향하는 정부 3.0의 정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적절한 관리체계와 주기적 점검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